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활동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면서 지역주민들의 소통이 줄어들었고, 이는 그동안 모임의 장이 되었던 지역 상권의 쇠퇴로 이어졌다. 현재는 방역 정책이 완화되었으나, 피해를 다 회복하지 못한 지역 소상공인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코로나 이전보다 증가한 공실 문제 해결 및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해 소상공인과 지역주민의 상생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지역 상권이 직면한 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구체화하고 배달 앱과 공간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설문을 작성하여 지역주민과 소상공인의 의견을 들었다. 설문은 ‘코로나 19로 인한 피해가 어느 정도인가’와‘본 논문에서 구상한 공공배달앱 및 공간모델이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적합한가’에 대한 항목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의견을 종합하여 가장 응답률이 높았던 항목을 바탕으로 배달 앱 및 공간모델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작된 공간모델에는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부착시켜 지역 공공기관이나 지방 정부의 정책 및 이벤트를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지역과 상생한다는 정체성을 부각시켰다. 또, 공공배달앱은 지역상권을 고려하는 의미에서 주문 가능한 거리에 제한을 두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구축까지의 시간 단축과 추후 수정 및 배포 용이성의 장점이 있는 WEM 노코드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공공배달앱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Due to COVID-19, most of the activities were switched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local residents decreased, which led to the decline of the local commercial district, which had been a meeting place. Currently, the quarantine policy has been relaxed, but the problem of local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not fully recovered from the damage remains.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a win-win plan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local residents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ed vacancy compared to before the Corona virus and to restore the local commercial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such as 'How much damage caused by COVID-19?' and 'Is the public delivery app and spatial model conceived in this paper suitabl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Based on the items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by synthesizing the opinions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 delivery app and a space model were propos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ublic delivery app was designed to limit the distance that can be ordered in the sense of considering the local commercial area. A public delivery app prototype was built based on the WEM no-code application platform, which has the advantages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and ease of later modification and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