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에서의 질병경험과 방역정책의 특징을 논의한다. 한국사회는 반복적인 인수공통감염병을 경험했다. 질병 통제를 위해 방역당국은 예방적 살처분을 방역의 기 초로 삼았다. 하지만 비인도적인 대단위 살처분 방식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예방적 살처분은 높은 효율성으로 유지되었으며 잠재적 감염동물을 제거함으로써 안전을 확보 한다는 과학적・경제적 이유로 정당화되었다. 그러나 살처분을 통한 예방적 방역은 위험 을 질병에 취약한 인간과 비인간에게 전가하는 외주화의 결과를 가져왔다. 감염되지 않 은 가축과 야생동물, 외국인 노동자와 비숙련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위험은 자연스럽게 외주화된다. 이 연구는 인간동물감염병에 대한 방역정책이 취약존재를 생산해왔다는 사 실에 주목한다. 특히 취약존재는 인간뿐 아니라 비인간을 포함하며 복지나 권리는 무시 된 채 방역정책이 진행되었다. 문제해결을 위해 공중보건, 의학, 수의학 및 생태학이 결 합된 원헬스 전략이 제안되었다. 이 전략은 취약존재생산 문제를 보완하려는 시도임에 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공간중심방역 의 형성과 인간/비인간 취약존재의 생산이 원헬스 틀 안에서 오히려 강화될 가능성을 논 의할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disease experience and its containment policy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outbreak of Covid-19 shifts the main idea of how to control the disease. Koreans experienced repeated and cyclic outbreaks of human and animal infectious diseas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millennium. The experiences reflected in the containment policy in human and animal diseases. This research is interested in a fact that the public health policy produces new vulnerable beings, which include humans(migrant and part-time workers) and non-humans(domestic and wild animals) through preventive culling and spatialized approach to contain infectious diseases. Aggressive and centralized policy outsources risks of diseases onto vulnerable beings. Although global health organizations have put forward the concept of ‘One Health’, a holistic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and promote health of humans, animals and the ecosystem, it is not suffice to stop from producing those vulnerable beings. This article shows how the space-based containment has been adopted as a public health strategy, and how the vulnerabilities of humans and animals in ecosystems were intensified in the process of disease prevention even in the One Health fr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