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래 한국 게이 로맨스 영화에서 공통되는 서사적 구조를 도출하여 남성 간 돌봄을 통해서 친밀성의 관계를 창출하는 장치를 분석한다. 이는 여성 독자·관객이 주를 이루는 폐쇄적 매체를 통해 창작·향유되었기에 주로 여성 문화로 간주하여 온 동성애 재현 텍스트의 스펙트럼을 되묻는 것이기도 하다. BL(Boy’s Love)이 주로 이성애자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위한 문화적 전유이므로 젠더 정치적 의미가 있지만, 역으로 퀴어성은 충분히 담지 못한다는 그간의 통념이 실은 동성애 규범적 재현을 유도하며 퀴어를 반사회적인 급진성으로 한정하는 진보주의적, 엘리트주의적 관점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규범적 정체성에 근접한 재현보다는 퀴어적 독해라는 수행이 중요하다는 선행논의를 통과하여, 이 글은 ‘BL-게이 로맨스’라는 스펙트럼을 제안하면서 게이 로맨스 대중 영화의 정치적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게이 로맨스 영화의 청년기 남성들이 계급 재생산을 위해 특정한 남성 젠더의 훈육을 강요하는 가부장적 가족 제도에 반발하며 성장하는 서사적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간호를 비롯한 돌봄과 동거의 상황을 반복하게 만드는 서사적 패턴을 귀납하여, 독립적인 개인이 되어야 한다는 남성적 생애 모델의 전제를 무너뜨리는 기제로 작동함을 논한다. 강제된 동거와 돌봄은, 경쟁적이고 위계적인 기존의 남성 동성 사회의 관계 맺음에 균열을 내는 계기로써, 상호 대등한 경제적 주체이자 상호 의존적인 정서적 주체가 되게 만든다. 이 돌봄은 남성 간의 신체접촉을 경쟁에서 탈맥락화하여 에로티시즘을 적층해간다. 이로써 친밀감을 축적하고 상호 의존적인 돌봄 관계가 부모세대의 가족주의적 남성과 다른 대안적 남성상일 수 있음을 인물들은 깨닫게 된다. 따라서 두 주인공은 경쟁과 독립이라는 남성성에서 벗어나 돌봄과 연결이라는 다른 남성성에 도달하면서 연애 서사를 완성한다. 이 글은 게이 로맨스가 기성 가족 제도의 계급 재생산 및 폭력적인 위계를 중심으로 하는 남성성과 거리를 둔 남성 젠더/섹슈얼리티를 창안하려는 시도이며, 또한 남성 간 친밀성과 돌봄의 문화정치를 위한 자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article derives a common narrative structure in recent Korean gay romance movies and analyzes it as a device that creates a relationship of intimacy formed through care between men. This is also a question of the spectrum of homosexual reproduction texts that have been mainly regarded as heterosexual women’s culture because they were created and enjoyed through closed media dominated by female readers and audiences.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BL (Boy’s Love) is primarily reserved for sexuality of heterosexual women, so it has gender political significance but cannot contain queerness, in fact, may be a progressive and elitist perspective that induces homosexual normative representation and limits queer to antisocial radicality. Passing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the performance of queer reading is more important than queer’s exhaustive reenactment, this article attempts to interpret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gay romance popular films while proposing the spectrum of “BL-Gay Romance.” This article analyzes gay romance movies as a growth novel of young men who oppos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forcing male gender for class reproduction. I argue that it acts as a mechanism to break down the premise of male growth that it should become an independent individual by inducing an epic pattern that repeats the situation of care and cohabitation, including nursing. Compulsory cohabitation and care, as an opportunity to crack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and hierarchical existing male-sex societies, makes them mutually equal economic and mutually dependent emotional subjects. In addition, care builds eroticism by detaching physical contact between men from competition. As a result, characters realize that intimacy is accumulated and that the interdependent caring relationship may be an alternative male image different from the familial male of the parents’ generation. Therefore, the two main characters complete the love narrative by breaking away from the masculinity of competition and independence and reaching the gay masculinity of care and solidarity. This article predicts that such gay romance will be a resource for the cultural politics of intimacy and care between men, which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class reproduction of the established family system and the violence of male ge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