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선초기 경학 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특성을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미시적 관점을 통한 이해가 경학 사상에 대한 주석이나 해설 가운데 우주론과 심성론, 실천수양론에 대한 개념적, 분석적, 연역적 해명이라고 한다면, 거시적 관점에서의 이해는 정치사상 및 경세론, 제도론에 대한 경험적, 종합적, 귀납적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미시적 해석이 현상으로 드러나기 이전의 현상을 드러내는 이치에 대한 미시적 양상에 대한 분석적 해명을 위주로 한다면, 거시적 해석은 이치가 드러난 다양한 현상에 대한 검토를 위주로 한다. 조선전기가 어지러워진 시대에 새로운 질서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유학과 성리학 이념이 현실의 윤리적 정치적 실천 강령을 제공해주는 수단적 역할을 했다면, 조선중기에 이르러 성리학은 다양한 우주론적 도덕형이상학적 논변과 이론적 탐색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면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논쟁들은 다시 탈성리학과 실천 위주의 관점으로 전환된다. 문화다원론이 보편성과 통일성보다 특수성과 고유성, 다양성에 따른 가치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성리학의 기론(氣論)은 필연적으로 보편적 의미를 가지는 ‘리(理)’와 결합 하여 이기론(理氣論)으로 종합되기 때문에 문화다원론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조선 초기에 정도전은 동중서의 동류상동(同類相動)으로서의 기(氣)의 의미를 받아들여 하늘과 인간은 동일한 유형의 기(氣)를 매개로 서로 감응하는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조선초기에는 관학파 유학자들은 주로 유학의 정치이념과 문물제도와 같은 거시적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경세론을 다양한 주제로 제시하였다. 이들 관료 학자들에는 신숙주, 성현, 정초, 변계량, 양성지 등이 대표적이다. 변계량은 조선이 중국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하여 독자적인 왕조의 유구한 연원을 가지고 있음을 하늘에서 내려온 ‘단군(檀君)’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조선초기 경학사상사를 철학, 종교, 정치, 외교, 경제, 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문화다원론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것은 이 시대를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cultural pluralistic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thought of Confucian Classic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a microscopic and macroscopic point of view. First, it is a conceptual, analytical, and deductive explanation of cosmology, mind and human nature theory, and practical discipline theory among commentaries and explanations for understanding of the thought of Confucian Classics thought through a microscopic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from a macro perspective can be said to be an empirical, synthetic, and inductive light on political ideology,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theor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played a instrumental role in providing a practical ethical and political code in order to establish a new order system in a chaotic era. In the mid-Joseon period, Neo-Confucianism was charactered by various cosmological and moral metaphysical arguments and theoretical explorations.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taphysical debates of Neo-Confucianism were again converted to post-Confucianism and practice-oriented perspectives. Cultural pluralism aims to present values according to specificity, uniqueness, and diversity rather than universality and unity. Therefore, the theory of Qi(氣) in Neo-Confucianism can inevitably be combined with li(理), which has a universal meaning, and synthesized into the theory of li and Qi(理氣論), so it can be a philosophical basis for cultural plural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eon Dojeon accepted the meaning of Qi as the Dongryu-sangdong[同類相動] of Dong Jungseo, the emphasized that the heaven and human beings respond to each other through the same type of Qi[氣].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of the government school presented various theories of economic affairs that could be illuminated from a macro perspective, such as the identity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the cultural system. Representative of these bureaucratic scholars are Shin Sukju, Seong hyeon, Jeong cho, Byun Gye ryang, and Yang seongji. Byun Gyeryang suggested that Joseon had a long history of independent dynasty without being subordinated to China through the recognition of ‘Dangun[檀君]’ descended from heaven. Studying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though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a cultural pluralist perspective focusing on philosophy, religion, plitics, diplomacy, economy, and culture will be the key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