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초 실내 극장 무대 위의 전통공연물 공연자로서 활동한 기생을중심에 놓고, 특히 창극 공연에 초점을 맞추어 그 공연 양상과 의의를 살피려는논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전통 예능 보유자였던 기생이 차차 창극 공연에 있어 주요공연자로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과정을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는 당시 극장전속 일원으로서 혹은 조합 차원으로, 기생들이 참여하고 활동한 창극 공연의양상을 살펴 보았다. 신문 잡지 기사에서 보고한 창극 공연물의 성격이나 형식에유념하여 그 양상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보았는데, 1)병창 혹은 분창, 2)‘-노름’, 3)특별히 그 형식을 짐작하기 어려운, 비판소리계 작품에 제재상 기원을 둔창극, 4)알려진 판소리 작품을 바탕으로 그 전편을 구성하되 창을 통한 극 갈래로서의 특성을 그 나름대로 분명히 드러낸 창극, 5)전통 무용극에 창이 덧붙여진唱舞劇 형식의 것 등이 그것들이다. 물론 형식뿐 아니라 공연의 성격 및 작품내용까지 고려한 구분이어서 각각이 대등한 위상을 지닌 것들이 아닐 수는있다. 하지만 이를 통해 형성기라 할 당시 창극 양식이 유동적 상태에 놓여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고 본다. 또한 1910년대 당시 창극 공연에 있어 여성연희자, 곧 기생들이 중심적 위상을 차지했음과, 기생을 중심으로 한 당시 창극공연자들이 관객의 호응을 얻기 위해, 다시 말해 대중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나름대로 적잖은 고민과 노력을 했을 것임도 알 수 있었다. 위의 다섯 가지의양상들은 그 소산물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근대초 기생들의 창극 활동은 그들에게 가해지던 부당한 편견을 넘어서서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행위이면서 결과적으로는 창극을 포함한 전통공연물들에 근대식 예술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는 일이기도 했다.


This study focuses on Gisaengs, who acted as a performers of a traditional performance on the stage of an indoor theater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attempts to examine the pattern and implications of their performance activities, especially regarding the Changgeuk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process of how Gisaengs, who were traditional artistic holders, appeared in earnest as the main performers in the Changgeuk performance over time.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hanggeuk performances in which Gisaengs participated and were active at a theater exclusive or association level at that time. This study divided the patterns into five categories, considering the nature and format of the Changgeuk performances reported in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at the time. These are 1) singing together or singing in parts, 2) ‘-noreum’, 3) Changgeuk, of which the form is difficult to conjecture, that has a material origin in the works of the non-Pansori line, 4) Changgeuk, which composes the whole play based on known Pansori works, but clear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a dramatic branch through Chang(唱), and 5) the type of Chang-dance-play (唱舞劇) in which the traditional dance play is attached to Ch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geuk style was in a fluid state at the time of the so-called formative period. Furthermore, it can be inferred that in the 1910s, the female entertainers, the Gisaengs,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Changgeuk's performances, and that for Changgeuk performers centered on Gisaengs at the time to win the audience's response, they had to put deep thought and effort into gaining popularity.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Changgeuk activities of Gisaengs were to secure their identity by surpassing the unjust prejudices imposed on them, and as a result, they were also to give value to traditional performances, including Changgeuk, as modern ar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