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급 학교 간 학력 차이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중학교 236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12,702명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결과와 학생, 교사, 학교(장) 대상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 우수학력 중학교와 기초학력 미달 중학교의 예측요인을 탐색하고 벌점화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에서 우수학력 학교와 기초학력 미달 학교 간 학력 차이는 학교 구성원의 특성과 지역 변수가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요인은 다문화가정학생 수, 학교 소재지, 기초생활수급 학생 수, 학부모 참여 정도, 학생의 교과 수업 이해 비율, 학부모의 학업성취향상 요구,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의지 등이었다. 또한, 교과목별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에 중요한차이가 발견되었다. 먼저 읍면지역에 위치한 학교의 국어교과와 수학교과에서 성취 수준이 낮았으며, 다문화 학생수가 많은 학교의 학업성취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여건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행·재정적 정책 대응, 학생 학업성취 제고를 위한 학교지원정책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dentify significant school factors that predict highand low-performing middle schools. We importe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12,702 students enrolled in 236 middle schools from the 2019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Considering the study’s complex situation and substantial data, which include more than 200 explanatory variables for each subject analysis, we employed the LASSO penalized regression techniques. Conclusively,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sub-groups and region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performing middle schools. Significant predictors in all subjects were the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public assistance, degree of parent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curriculum, and student's willingnes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ese differences between highand low-performing middle schools imply tha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olicies need to be more individually customized according to schoo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