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해주는지에 대해 성별로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서울시, 안양시 및 안산시에 소재한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총 36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변인에 대한성별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 예측 요인 탐색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어머니의 ‘돌봄’ 요인,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및 ‘대인관계’ 요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및 ‘문제해결’ 요인, 학교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 요인에서 높게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전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있어서도 높게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있어 남녀 모두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 ‘긍정성’, ‘대인관계’ 요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 ‘직업정보’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는요인을 밝혀냄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중단율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arental bonding,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whether these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he participants were 362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mothers' care in parenting attitudes, as well as ‘posi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b-factors of resilience compared to male students. Additionally,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adjustment’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male students. Based 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stepwise metho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a reduction the school dropout rate of student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