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시민성 연구를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3월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총 47편을선정하여 전반적 연구 동향과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01년부터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가 시작되어 지속적으로 논문이 이루어졌으며, 2021년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영역으로는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속의 디지털 시민성을 분석하는 연구 등의 실천방안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로는 디지털 시민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법을 분석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넷째, 연구 방법으로는디지털 시민성의 개념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문헌 및 이론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 대상으로는초등교육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여섯째,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는 가치·태도 영역이 가장 많았고가치·태도 영역 중 하위영역으로 디지털 사회의 권리와 존중 영역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한두 가지 영역과 결합하여 연구되었으나, 지식, 기능, 가치·태도, 행동 4가지 영역을 모두 결합한 연구는 7편(14%)이었다. 이외에도 연구주제 및 연구대상자에 따른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요소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디지털 시민성 연구의 실제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함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시민성 연구대상자를다양화하여 유아뿐만 아니라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연구가 요구되며,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디지털 시민성 개념이나구성요소의 균형을 유지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양적연구 이외에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viou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and to grasp implications for future digital citizenship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a total of 47 domestic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March 2022 were selected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n overall research trends and digital citizenship components. As a result, first, research on digital citizenship began in 2001, and papers were continuously conducted, an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in 2021. Second, as for the research area, research on practical measures such as research analyz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curriculum or textbooks was the most common. Third, as a research topic, most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nd fourth,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d theory studies to study the concept and activation method of digital citizenship were found the most. Fifth,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elementary education, and Sixth, the digital citizenship component had the largest number of values and attitudes, and the sub-areas among values and attitude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of rights and respect in digital society. In addition, most of the studies were studi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two areas, but seven studies (14%) combined with all four areas of knowledge, function, value, attitude, and behavior. In addition, sub-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subject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actual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digital citizenshi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for not only infants but also the digital vulnerable is required by diversifying digital citizenship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digital citizenship concepts or components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Lastl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o quantitati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