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관련 학술논문25편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적용 시기, 연구대상,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제언이라는 다섯 가지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논문에서 시작하여 최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이르기까지 연구 편수가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두 번째, 학교급에 따라 분류하면, 초등학교급을 다룬 연구수가 가장 많았고, 인적 대상에 따르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세 번째,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지침에 관한 분석 및 비교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실행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개발 및 설계에 관한 연구가비슷한 편수로 다루어졌으며, 비중은 적으나 이론 및 개념에 관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문헌 연구가 절반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질적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 번째, 연구의 제언으로는 지역 교육과정의성격 및 권한, 지역 교육과정 문서 체제, 지역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거버넌스에 관한 내용, 지역 교육과정에 관한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지역 교육과정의 실행지원에 관한 내용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지역 교육과정 관련 연구 영역의 확대, 연구대상의 다양화, 지역 교육과정의 역할 및 권한에 대한 합의 등이 필요함을제시하였다.


To explore the trend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25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the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urriculum’s timing of app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the thesis applied with the sixth curriculum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Seco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elementary school level was the highest, a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human subjects, the number of studies on teachers was the highest. Third, analyses and comparative studies on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had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studies on implementation and reality, development, and design had similar proportions. Studies on theory and concepts were also included. Fourth, literature research accounted for about half of all researches,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recent times. Fifth, the research suggestions raised the issues of the nature and authority of the local curriculum and the regional curriculum’s document system, the contents of its development system and governance,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and support for its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 regional curriculum’s research areas, diversify its research subjects, and review its roles and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