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실행을 저해하는 실질적인 장애요인을 분석하는것이었다. 이를 위해 교육 현장 전문가 20명의 패널을 활용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장애요인은 1) 시간부족, 2) 분절된 교과교육과정, 3) 멘토교사의 부재, 4) 집단지성의 부재, 5) 교육과정 실행력 부족, 6) 수치화된 성취도, 7) 변화기피, 8) 교사의 전문성 불신 풍토, 9) 교육과정 문해력 부족, 10) 평가방법의 어려움, 11) 개인 역량개발 부담, 12) 협업 부담이었다. 선행연구 결과 및 델파이 참여교사들의 의견 등을 기초로 12가지장애요인을 재해석 한 결과, 일반계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의 장애요인은 1) 교사의 시간자결권 부족, 2) 교과중심의 분절된 교육과정, 3) 소통 네트워크 미작동, 4) 정량적 평가의 의존성, 5) 교사전문성 개발 미진의 5가지로정리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의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는 세 가지 시사점으로새로운 리더십을 활용한 학교문화의 시스템적 요인의 변화, 교사 업무 재구조화 및 학교 업무 슬림화, 그리고 주제중심융합수업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al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me-based convergence classes at general high school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anel of 20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following barriers were derived: 1) lack of time; 2) divided curriculum; 3) lack of mentor teachers; 4) lack of collective intelligence; 5) lack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bility; 6) quantified achievement; 7) resistance to change; 8) disbelief in professionalism of teachers; 9) lack of curriculum literacy; 10) difficulty in selecting evaluation methods; 11) burden of developing personal competence; and 12) burden of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eachers’ comments from the Delphi study, these 12 factors were sorted into five barrier types: 1) lack of time autonomy; 2) subject-oriented segmented curriculum; 3) communication network not working: 4) dependence on quantitative assessment; and 5) lack of teachers' steady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discussion, the study proposed three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opic-based convergence classes: changes in systematic factors of school culture using new leadership, reorganizing and cutting down on school work, and strengthening expertise in subject-centered convergence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