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환경주의와 종교의 친화성, 혹은 환경운동의 종교적 성격은 오래된 주제이다. 하지만 최근의 기후환경을 고려하면, ‘종말론적 환경주의’라는 비판은 더는 현실에 관한분석이라 하기 어렵다. 현실에서 갈수록 늘어가는 이상기후현상를 접하면서 기후 및환경문제를 자신들의 삶의 문제로 여기고 친환경 태도와 실천에 관심을 가지는 청년세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여기에 주목한다. 기후위기를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행동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는 현상과 청년세대가 종교를 떠나는 현상을 루만의 사회이론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루만의 체계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여 ‘종교적 소통’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루만의 체계이론에서 종교와 인간, 환경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한다. 그 후 대학 환경동아리 회원 대상 인터뷰와그들이 환경운동에 대해 작성한 글, 환경단체 청년활동가 인터뷰 기사 등을 분석하여청년들이 환경운동을 자신의 신념과 정체성으로 선택하는 이유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생태적 가치를 삶의 가치로 선택하고 환경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대 초반의청년세대는 그 어떤 세대보다 현재의 생태위기를 존재론적 위협으로 여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환경 이슈에 민감하며, 친환경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에게 녹색습관은 생활양식이며, 생태적 가치가 도덕과 규범이다.


The affinity between environmentalism and religion, or the religious nature of environmental movements, is an old theme.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climate environment, the criticism of ‘Apocalyptic Environmentalism’ is no longer the analysis of reality. Instead, in reality,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consider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ir life problems. They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attitudes and practices as they encounter increasing abnormal climate events. This study focuses right here. It examines the growing number of youth generation who accept and act on the climate crisis as their problem and the phenomenon of the youth generation leaving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Luhmann’s social theory. It argues that ‘religious communication’ is changing using Luhmann’s system theory as a theoretical basis. To this end, I briefly review Luhmann’s system theory’s religion, human, and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at, interviews with university environmental club members, interview articles with youth activists of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and writings about climate action and ecological issue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reason why young people choose environmental movements with their beliefs and identity.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the youth in their early 20s, who chose ecological value as the value of life and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movement, regarded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as an ontological threat more than any other generation. Therefore, they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issues and try to act eco-friendly. For them, Green Habit is a lifestyle, and ecological values are morality and n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