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케냐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수 방법 연구로서 문법의 핵심 의미인 어휘를 도출하여 학습자 나라의 공용어인 영어로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자의 문법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Vanpatten & Cadiemo(1993)의 ‘L2 언어처리 지도’와 Vanpatten(2004)의 ‘제2언어 습득 과정의 세 단계’ 두 이론의 입력 단계에서 문법의 의미 입력 강화 처치를 하고자 하였다. 의미 입력 강화의 방법은 문법의 핵심 의미를 영어와 대조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서울대 한국어 1, 2권에 있는 문법 중 핵심어가 도출되는 54개 항목을 선정하여 영어와 대조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교수안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한국어 보급이 비교적 활발하지 못한 아프리카 지역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 과제를 가지고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e current study discussed the methodology of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beginne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Kenya and its purpose was to help learners’ comprehension of grammar by deriving vocabulary, the core meaning of grammar, in English, a common language in the learners’ country. The methodology was to reinforce the grammatical semantic input in the input stage of L2 Language Processing Instructions. The ways to reinforce semantic input is to contrast the core meaning of grammar with English. The current study selected 54 items of core meaning from the grammar sections of Korean Language Vol. 1 and Vol. 2,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ompared them with English terms. Based on the study, it also suggested a lesson plan to apply it to classrooms. The study was completed with follow-up topics considering the Korean learners from Africa where Korea is relatively less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