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비자로서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G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의 하위요인 일부는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은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을 매개로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인의 영향경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s consumer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4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fluence between the data was verified b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ffect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nd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influence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b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various aspects and analyze the influence paths of the variables more de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