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자는 본 논문에서 흄이 「부록」에서 고백하는 “자아의 동일성 문제”에 있어 흄이 처한 곤경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우선 필자는 김효명이 『영국경험론』에서 제시한 「부록」의 “흄의 곤경”에 관한 해석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김효명은 「부록」의 흄이 처한 곤경을 선험적 자아를 받아들일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딜레마적 상황으로 해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지각을 지각의 내용뿐만 아니라, 지각의 활동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면 흄이 처한 난관을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을 한다. 그러나 이 해석에는 “지각의 다발”이 지각 활동을 한다는 말이 반직관적이라는 문제가 남아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것은 김효명이 흄의 “지각 다발 이론”에 전제되어 있는 “분리가능성의 원리”를 간과했기 때문인 것으로 진단한다. 필자가 제시하는 해석에 따르면, 흄이 「부록」에서 곤경에 처하게 된 것은 흄이 전제로 받아들인 “분리가능성의 원리”가 결국 자아동일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림돌이 됨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분리가능성의 원리”가 야기 시키는 문제는 관점에 관한 비대칭성의 문제이며 이는 결국 자아의 동일성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무한퇴행의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rpretation of Hume’s puzzle in the Appendix concerning his own system of the self. First, it critically examines Prof. Hyo-Myung Kim’s interpretation. According to him, Hume faces a dilemma in the Appendix: whether or not to accept the transcendental self. In order to avoid the dilemma, Hyo-Myung Kim proposes to understand the mind, a bundle of perceptions, not only as including its contents but also its activities. Although I generally accept his understanding of Hume’s concept of perception, I argue that he overlooks the role of the separability principle in Hume’s bundle theory of the self. In my view, Hume’s puzzle arises when he recognizes the fact that the separability principle does not ground but rather undermines his own system of the self by causing both the problem of perspective asymmetry and the problem of infinite re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