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arable of Unjust Steward has often been interpreted as an exhortation about the wise use of money in times of eschatological crisis. This article challenges this traditional view, arguing that the characters of the parable are not positive role models for readers to follow but mammon worshippers (16:13). It examines the pa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tron-client and the shame-honour culture and contends that they are ‘the sons of this generation’ who are crafty in making a deal with each other for their own interests. It understands that Jesus scoffs at their savoir-faire, reading his exhortation at verse 9 as an irony, and teaches that one should not rely on mammon. This reading of the parable is coherent with Luke’s views on possessions found in the parables of the Rich Fool, the Prodigal Son, Dives and Lazarus, and his teaching on invitation (Lk. 14:12-14).


불의한 청지기 비유는 종말론적인 시대에 지혜롭게 재물을 사용하라는 가르침을 주는 비유로 종종 해석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전통적인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비유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독자들이 본받아야 할 긍정적인 모델이 아니라 맘몬 숭배자(16:13)에 지나지 않다는 주장을 펼친 다. 이 논문은 그레코-로만의 후견인 제도와 명예와 수치의 관점에서 비유를 분석하면서, 이 비유의 등장인물들이 자기의 이득을 위해서 서로 약삭빠르게 거래를 주고받는 데 능숙한 “이 세대의 아들들”이라는 주장을 한다. 이 논문 은 9절에 나온 예수의 가르침을 아이러니로 읽음으로써, 이 비유에서 예수께 서 이 등장인물들의 처세술(savoir-faire)을 냉소적으로 비웃으시며 맘몬을 의지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는 해석을 한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 탕자의 비유, 부자와 거지 나사로의 비유에서 견지하는 세계관 과 이러한 비유 해석이 일맥상통하며, 특히 초대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눅 14:12-14)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