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문학사에서 손창섭은 서사 미학적 성취가 돋보이는 작가다. 그는 예외적 작가, 별종적 개성을 지닌 작가라는 문학사적 평가를 받을 만큼 문학적 개성이 강했다. 손창 섭은 1950년대 비극적 현실을 재난⋅이주⋅난민이라는 테마로 깊이 있게 형상화해냈다. 그의 소설에서는 서사적 의외성, 우스꽝스러운 상황 설정이 특징적이다. 주요 인물들도 무력한 성격으로 그려지거나, 현실의 부조를 비약하는 무관심성을 보이기도 한다. 의외 성의 서사와 미적 우스꽝스러움, 그리고 비주류적 세계관은 1950년대 독자들로부터 열 렬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손창섭 소설은 기존체제의 윤리를 낯선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 독특한 시선은 기존 의 사회체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힘을 지닌다. 이는 1950년대 비극적 현실에 대한 거리두기이면서, 비주류적 인간이 바라본 세계를 형상화함으로써 기성 체제를 비판하 는 것과 같다. 그 핵심에 ‘우스꽝스러움의 미학’이 자리하고 있다.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기존 체제 비판, 낯선 시선, 비주류적 세계관를 그려냈기에 민중성과 현재성을 갖고 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손창섭의 독특한 미학 세계는 1950년대 한국문학의 성취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그가 갑작스럽게 1973년 말 일본으로 이주한 후, 그의 문학은 애석하게도 잊혀지고 있다. 필 자는 손창섭이 1958년부터 1973년까지 거주했던 ‘흑석동 산4번지’를 발굴했다. 손창섭의 문학 공간을 되실림으로써 손창섭의 문학을 재해석하려는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한국 문학사에서 소중한 ‘미적 성취’를 이룬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서사의 의외성’, ‘우스꽝스 러움’, ‘비주류적 세계관’으로 의미부여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on Chang Seop is a writer whose narrative aesthetics are outstanding. His literary personality was strong enough to receive a literary historical evaluation of an exceptional writer, a writer with a distinct personality. Son Chang Seop deeply embodied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under the themes of disaster, migration, and refugees. His novels are characterized by narrative unexpectedness and ridiculous situation settings. Their main characters are also portrayed as helpless, or show indifference to the abordities of reality. The unexpected narrative, aesthetic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 aroused enthusiastic response from readers in the 1950s. Son Chang Seop’s novels look at the ethics of the existing system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This unique perspective has the power to deconstruct the existing social system. While keeping distance from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this appears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system by shaping the world viewed by non-mainstream humans. At the heart of it lies the ‘aesthetic of ridiculousness’. Son Chang Seop’s novel world is evaluated as having folklore and currentity because the novels depict the criticism of the existing system, an unfamiliar perspective, and a non-mainstream worldview. Son Chang Seop’s unique aesthetic world was evaluated as an achieve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However, after he abruptly moved to Japan at the end of 1973, his literature is sadly forgotten. This writer explored ‘San 4 Heukseok-dong,’ where Son Chang Seop lived from 1958 to 1973. By reviving the literary space of Son Chang Seop, it is expected to reinterpret the literature of Son Chang Seop. Son Chang Seop’s novel world, which has accomplished a precious ‘aesthetic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n be given the meaning of ‘the unexpectedness of the narrative’,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