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언급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시민미디어 리터러시”로 재개념화하고 구체화한 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적 의도성과 민주적 원칙에 관심을 가지고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질적으로 더 고양된 형태의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할 수 있으며,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역량이다. 또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하여,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들이 수업 모형을제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661명을 대상으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초로 개발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는 총 40개 문항으로 “접근 및 선택” 13개 문항, “분석 및 평가” 14개문항, “표현 및 소통”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접근 및 선택”에서 유해 미디어 배척(4개 문항)과 양질의 미디어 선택(5개 문항)의 2요인 구조, “분석 및 평가”에서 자료 및 정보 분석(3개 문항)과 의미 숙고(4개 문항)의 2요인 구조, “표현 및 소통”에서 자기 성찰(3개 문항), 사회적 책임(2개문항), 공적 참여(6개 문항)의 3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7개 설문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적절하였으며, 집중타당도에서는 문항 수가 적은 사회적 책임(2개 문항) 요인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었지만 판별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민 미디어리터러시” 척도는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와 다양한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and embody media literacy mentioned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itizens in the modern society as “civic media literacy” and then develop it on a scale. Civic medi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se media with interest in civic intentionality and democratic principles. It is a concept that takes into account five factors: caring, critical consciousness, imagination, persistence, and emancip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ly higher form of media literacy that citizens who are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have. It is a competen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citize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civic media literacy” as a quantitative measure so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tudie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not only can propose a class model, but also can verify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6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develop a civic media literacy scale. The first developed civic media literacy scale consisted of 40 items, including 13 items of “access and select”, 14 item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13 item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wo-factor structure of “exclusion of harmful media (4 items)” and “selecting good media (5 items)” in “access and selection”, the two-factor structure of “data and information analysis (3 items)” and “deliberation about implication(4 items)” in “analysis and evaluate”, an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selfreflection (3 items)”, “social responsibility (2 items)”, and “public participation (6 items)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7 derived questions, it was appropriate. However,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the factor of “social responsibility” with a small number of questions (2 items), although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ivic media literacy” scale derived from results shown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media literacy and various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