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법은 일반적인 상황의 평균인을 대상으로 마련한 것이니 만큼 법률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법문을 중심으로 하는 문언중심적 해석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법률은 실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항들에 대하여 모두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을 법문에 포섭시키거나 배제 시키기 위해 목적론적 해석이나 법형성적 판결이 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특히 의료소송의 경우에는 의료행위가 사람의 생명, 신체를 대상으로 하며 사람의 생명과 신체는 한 번 훼손되면 다시 회복이 불가능한 불가역성을 가지는 만큼 입법취지 및 입법목적을 중시하여 목적론적 축소해석 및 확장해석을 하여야 할 필요성이 크다. 우리나라 대법원의 경우 문언을 중심으로 전체적 조화론적 해석을 하고 있는 바 의료법에 대한 판결을 중심으로 대법원의 법률행위 해석방법 및 타당한 법해석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the law is prepared for the average person in a general situation, in interpreting the law, in principle, the text-centered interpretation should be conducted focusing on the text of the law. However, the law does not stipulate all of the various matters that occur in real lif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dical litigation,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is emphasized, as medical actions are aimed at human life and body, and once damaged, human life and body are irreversible. However, if such an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outside the possible scope of the text, praeter legem(outside of the law)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medical practice, unlike general legal acts, it is an act that targets people's lives and bodies, so there is a need to quickly supplement the deficiencies of the law. Although it is possible to wait for the amendment of the law,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do so, therefore, first, consider the revised interpretation through praeter legem, and if the revised interpretation undermines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Medical La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vision of the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