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map as a strategy to govern fertile women in South Korea, whil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a feminist counter-mapping project. In 2016,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released the online “Korea Birth Map (KBM)” that indicates the numbe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by region. This map plac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low fertility problem on women alone by identifying the total number of fertile women on a map. In order not to repeat the same problem again, our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we attempt to eradicate the male-female dichotomy—which confines women to the spaces of the private sphere and of reproduction—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gaze. Second, we try to draw alternative maps that reflect the socio-economic factors that contribute to low fert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we emphasize that quantitative methodologies are not inherently positivist and masculinist but can also be appropriated for women’s liberation.


적정 인구 유지가 지속가능한 사회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에서 한국 정부는 저출산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논문은 한국 정부가 가임여성에 대한 통치전략으로 활용한 지도의 기능과 효과를 살펴보고, 여성주의적 대안지도 만들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016년 한국 정부는 지역별 가임여성 인구수를 표시한 ‘대한민국 출산지도’를 발표했 다. 이 출산지도는 저출산 문제의 책임이 오로지 여성에게 있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관료의 시선에는 여성을 사적 공간과 재생산의 영역에 국한된 것으로 간주하는 남성-여성 이분법이 깔려 있음을 드러낸다. 둘째,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대한민국 출산지도가 표현하지 못한 저출산 문제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표현된 대안지도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양적 방법론(지도, 통계 등)이 본질적으로 실증주의적, 남성주의적인 것 은 아니며, 여성해방을 위해 전유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