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감정노동 대처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체화시켜 절차에 따라 개발,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J지역 공사립유치원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구도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계획, 문헌검토, 분석 및 프로그램 고안, 프로그램 타당성검증, 프로그램 확정, 적용 및 효과검증의 6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직유아교사 20명을 임의표집하여 8주간 2회 총 16회기에 걸쳐 워밍업, 주제활동, 센터링, 나눔의 단계로 진행하였으며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ronbach's α와 프로그램구성요소의 중요도를 위한 준거타당성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유아교사의 감정노동 대처능력 증진을 위해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 환경지배력, 자율성, 삶의 목적, 개인의 성장을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확정하였다. 효과검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 유아교사의 감정노동 대처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직무소진 및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아교사 상담방법론에 대한 표준화된 기초자료를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research, we specify and develop emotional labor coping capabilities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applied it to infant teacher to verify the effect of decrease of emotional labor, task exhaust and str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coping capabilities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s. Methods It consists of 6 steps: planning, literature reviewing, analysing and program design, program validity verification, program confirming,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effect. Here are more spe cifics of each steps. Emotional labor coping capabilities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16 times of meeting total,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each meeting has warming up→activity→centering→sharing’steps. Results As a result of effect analysis after applying this confirmed program to infant teacher ex peri mental group, post test score of all outer activity, inner activity and task exhaust for emotional labor was always lower than pretest score of those, and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Conclusions is study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Labor Cop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ability to cope with emotional labor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job burnout and stress, and that there should be constant attention and policy and mana gerial consideration for the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improvement of the work environ ment and treatmen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provided standardized basic data on early childhood teacher counseling method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