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타 종교문화와의 대화 방법은 지금까지 주로 Allan Race의 구분법을 -종교다원주의, 포괄주의, 그리고 배타주의-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전통적인 구분법은 각각의 역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역기능들을 보완하는 상호문화화 대화(intercultural communication)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상호문화화 가 그 자체로서는 타 종교대화와의 대화 방법론(methodology)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호 문화화를 타종교 문화와의 대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학적인 작업을 하려고 한다. 특히, 개혁교회에서 혹은 범복음주의 계열의 교회들에서 신학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호 문화화를 신학적으로 재배열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본 논고의 주목적이다. 더불어서 남아공의 코자 (Xhosa)족의 집단 거주지인 카일리쳐(Khayelitsha)의 기독교인들 가운데 만연한 조상숭배 문제와 상호문화적 대화를 시도했다. 본고는 지금까지의 타 종교문화와의 대화의 방법들이 가진 서구신학의 맹점인 사변적이고 주체 중심적인 방식을 뛰어넘는 ‘praxis of with’의 대화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호문화화를 선교신학적으로 해석하는 가운데 서구신학에 기대지 않고, 오히려 동방신학이 가진 perichoresis의 풍부한 개념을 방법론으로 삼았다. 이 작업을 통해 상호문화화 개념이 개혁교회 안에서 종교다원주의, 포괄주의, 그리고 배타주의의 역기능을 넘어서는 타종교문화와의 대화 방법론이라는 것을 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논고는 하나의 대안적 대화의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아프리카 카일리처라는 특정 지역에서 그리고 조상숭배라는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샘플링을 통해 다른 지역에서 다른 주제를 가지고도 타종교문화와 상호문화적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행동(praxis) 으로서의 대화가 - 그 목적을 상호 배움에 한정한다는 조건 하에서 - 대화를 위한 서로 간의 관심을 다루는 상호공간(mutual space)을 열 수 있고 또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호대화의 목적이 단지 상호 배움이 아니라, 종교적인 회심(conversion)을 고려하는 것이라면, 상호공간에서는 서로 듣고 배우는 것 이상의 종교적 회심을 기대해야 한다. 본 논고는 조상숭배 문제를 주제로 참된 상호문화적 대화가 성육신적인 삶 즉, 섬김(devotion)이라는 praxis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나가는 과정이다.


As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Allan Race - Religious pluralism, inclusivism, and exclusivism - has been mainly used so far. However, this traditional distinction has its dysfunction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introduce a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 that complements these dysfunctions. Interculturation itself cannot be said to be a methodology for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erefore, I intend to do theological work so that interculturation can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In particula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logically rearrange interculturation so that it can be safely used theologically in the Reformed church to which the author belongs or in pan-evangelical churches. In addition, I attempted to engage in intercultural dialogue with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prevalent among Christians in Khayelitsha, a group settlement of the Xhosa people of South Africa. I would like to propose a dialogue method of ‘praxis of with’ that goes beyond the speculative and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is a blind spot in Western theology, that has been present in the methods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In interpreting interculturation in mission theology, the author did not rely on Western theology but used the rich concept of perichoresis in Eastern theology as a methodology. Through this work, it is expected to prove theologically that the concept of interculturation is a valid method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at goes beyond the dysfunctions of religious pluralism, inclusivism, and exclusivism within the Reformed Church. In particular, this paper does not stop at proposing an alternative dialogue methodology, but suggests a way to have conversations in a specific area called Khayelitsha in Africa and with a specific topic of ancestor worship. Through this sampling, it is expected that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will be possible even with different topics in different regions. I agree that dialogue as praxis can open and achieve a mutual space of dealing with each other's interests for dialogue. However, if the purpose of inter-communication is to consider religious conversion rather than just mutual learning, then in the mutual space, religious conversion should be expected more than listening and learning from each other. This thesis is a process of revealing that true intercultural dialogue on the subject of ancestor worship is possible through the praxis of the incarnate life, that is, dev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