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가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주해를 통해 개인적인 수준의 창조와 타락의 논의로부터 사회공동체적 논의로 전환함으로써 기독교 인간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이성과 진보에 대한 공고한 믿음은 본회퍼가 활동했던 20세기의 독일 신학계에 팽배했다. 그 시대의 신학적 풍토와는 대비되게, 본회퍼는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를 “신학적 해석”(theological exegesis)이라는 그리스도 중심적 방법론을통해 오랫동안 기독교 신학에서 간과되어 왔던 “공동체적 인간”이라는 면을심도 있게 고찰한다. 기존 서방 신학이 아담을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의주체로서 고찰했다면 본회퍼는 루터교적 그리스도 중심론(Christo-centrism)과공동체적 관점(communal perspective)을 통해 첫 인류인 아담과 하와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창세기의 창조, 타락 그리고 새로운 창조라는 이야기의 중심 주체로 삼는다. 이러한 본회퍼의 신학적 접근은 이미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성도의 교제』에서 제시되었다. 『성도의 교제』에서 본회퍼는 그리스도와 교회공동체를 아주 밀접하고 연결시키면서 교회공동체 중심의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 본회퍼의 창세기 해석은 기독교 인간론의 폭을 넓혔고 창조와 타락의 성서이야기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인간의 특질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신학적 기초를 제시했다. 본회퍼의 창세기 주해가 현 21세기 교회와 성도에게 주는통찰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 중심의 인간 이해에서 공동체 중심의 이야기로 해석의 패러다임을 확장했다. 둘째로 아담과 하와로 대표되는 인류 전체를하나님의 창조와 타락 그리고 새 창조의 주체로 인식할 수 있는 신학적 틀을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조, 타락 그리고 새 창조라는 구원의 드라마를 인간뿐 아니라 다른 피조 세계까지 창조 공동체로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argues that Dietrich Bonhoeffer suggested a new Christian anthropological paradigm by shifting the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individual to the communal level of discussion through his exegesis of the creation and fall account in Genesis. In Bonhoeffer’s time, people’s solid belief in human reason and progress governed most German theological circles. In contrast, Bonhoeffer turned to theological exegesis and applied a communal aspect of the human being, which had been ignored for a long time in Christian theology, to the creation and fall story. Whereas traditional theology focused on the creation and fall story of Adam as an individual and as the main subject, Bonhoeffer considered the community of Adam and Eve the subject of the account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 based on his Lutheran Christocentrism and communal perspective. His communal approach was suggested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Sanctorum Communio, in which he closely bound the notion of Christ and the church community. Bonhoeffer’s exegesis of the creation and fall expanded the scope of anthropology and opened a way to embrace all human beings as the primary subjects of the creation and fall account in which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re embedded. Bonhoeffer’s interpretation contains invaluable insights for twenty- first-century Christians. First, he expanded the anthropological scope through his communal approach. Second, he suggested a way to include all human beings, represented by Adam and Eve, as the primary subjects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 narrative. Finally, h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iewing all creatures as related through the divine drama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