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근대기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아동잡지인 어린이와 아카이토리에 게재된 소녀서사를 중심으로 잡지에 형상화된 소녀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어린 이의 소녀서사는 총 42편(45회 게재)으로, 소녀표상의 유형은 1) 가난과 가족 해체로 떠도는 소녀, 2) 죽음으로 내몰리는 소녀, 3) 어머니를 대신하는 ‘누나’, 4) 계몽 대상으 로서의 소녀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카이토리의 소녀서사는 총 30편을 분석 대상 으로 해서, 1) 동정과 사랑의 구현자, 2) 나쁜 습관을 고치고 반성하는 소녀, 3) 가족 속 의 소녀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어린이에는 아픈 운명으로 눈물짓고 괴로워하는 소녀들이 다수 등장한다. 이는 독 자들의 공감과 연대감을 강화시켰지만, 현실 타개 방법이나 미래상의 제시 없이 서사 전 개상의 비극성과 애상성이 강조되는 경향이 짙었다. 아카이토리의 소녀들은 가난이나 결핍과 상관없이 보호받는 근대 가정 내에 머무 르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에서의 보호와 훈육은 근대 국가의 필요에 따라 형성된 젠더 질서의 내면화 과정이며, 여기에 순응하는 순하고 착한 소녀가 되기를 기대받는다. 어머 니는 소녀를 계몽시켜 시민사회의 일원으로 키워낼 의무를 지기도 한다. 또한 소녀에게 착하고 순종적인 일상에 머무는 것을 미덕으로 하는 서사를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 해 서, 당대의 젠더의식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대의 젠더의식 형성과 근대 시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를 소녀서사는 제공하 고 있으며,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이어가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look at the image of a girl appearing in the magazines, paying attention to the girl’s stories in Eorini(1923-1935) and Akaitori(1918-1936), representative children’s magazines in Korea and Japan in the modern period. In “Eorini” there are a total of 42 girl’s stories(45 published), and the types of girl representation are, 1) a girl who wanders due to poverty and family disintegration, 2) a girl driven to death, 3) a ‘sister’ in the place of there mother, 4) the request of the times-appeared as an object of enlightenment. Meanwhile, a total of 30 girl’s stories in “Akaitori”were analyzed, 1) a girl who embodies sympathy and love, 2) a girl who corrects bad habits and reflects on them-an object of discipline and enlightenment, 3) protection from a middle-class family It could be broadly divided into the receiving girl–the girl in the family. In “Eorini”, there are many girls who are weeping and suffering because of their painful fate. Although it strengthened the sympathy and solidarity of the reader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emphasize the tragic and mournful nature of the narrative development without suggesting a way to overcome reality or the future. The girls in “Akaitori” were staying in modern families that were protected regardless of poverty or deprivation. However, protection and discipline at home 투고일(2022년 8월 7일), 심사일(2022년 8월 25일), 게재확정일(2022년 9월 1일) 234 8호is a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the gender order form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modern state, and she is expected to become a gentle and kind girl who conforms to it. The mother is also responsible for enlightening the girl and raising her as a member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by repeatedly providing a narrative that the virtue of staying in a kind and obedient daily life was repeatedly provided to the gir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gender consciousness of the time. Girl’s stories provides important keywords for understanding the gender consciousness of the time and the modern era, and we intend to continue the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se basic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