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PERMA 관점(Seligman, 2011)에서 정의된 고등학생 웰빙 구인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G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415명에서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PERMA-프로파일러의 15개 문항점수를 측정변수로 설정한 단일요인모형과 5요인 모형들(PERMA 5요인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상관모형, 이차요인모형, 이원요인모형)이 모두 적합하지 않아 대안모형을 탐색하였다. 일반요인(일반적 웰빙)과 2개의 집단요인(긍정정서, 긍정기능)으로 구성된 이원요인모형이 2요인 상관모형보다 적합하여 최적의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PERMA-프로파일러 15문항이 일반요인으로, 9문항은 긍정정서 집단요인으로, 6문항은 긍정기능 집단요인으로 수렴되었다. 두 집단요인들의 효과가 통제된 상태에서 주관적 행복을 예측하는 일반요인의 효과가 유의하였고, 다른 요인의 효과가 통제된 상태에서 긍정정서 집단요인의 효과가 유의한 반면, 긍정기능 집단요인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고등학생 대상으로 PERMA-프로파일러를 실시할 때 총점과 두 하위척도 점수를 산출하여 일반적 웰빙과 웰빙의 두 가지 측면(긍정정서, 긍정기능)을 평가할 필요가 있고, 긍정정서의 경험 없는 긍정기능의 성취는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끝으로, 연구결과가 고등학생 웰빙 경험의 이해와 증진 노력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of high school students’ well-being based on the PERMA frame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on online survey data from a sample of 415 high school students in G city, Korea. A single-factor model, a correlated five-factor model, a second-order factor model, and a bifactor model with 15 PERMA-profiler item scores as measured variables were compared. As goodness-of-fit indexes of the 4 models were not acceptable, two alternative models (correlated model, bifactor model) composed of 2 factors (positive feeling, positive functioning) were compar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bifactor model with a general factor and 2 group factors as the best-fitting model. All of the items were significantly loaded on the general factor, 9 items on the positive feeling group factor, and the remaining 6 items on the positive functioning group factor. The unique effects of the general factor and the positive feeling group factor on subjective happiness were significant but that of the positive functioning group factor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overall well-being and two distinguishable aspects of well-being by calculating the total score and 2 subscale scores of the PERMA-profiler and that functioning effectively without feeling good does not help subjective happines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