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비자살적 자해의 기능에 따른 청소년 임상군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 중 자해기능평가와 종합심리평가가 실시된 청소년 37명을 선정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해의 시작 연령은 12.73세이며, 가장 빈번한 자해 방법은 칼로 피부 긋기인데, 이는 심각도가 높은 방법으로 제시됨에 따라 자해의 지속 여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해의 기능에 따른 분류는 두 가지 동기를 모두 가진 집단, 개인내적 동기 집단, 사회적 동기 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기능에 따른 인지기능 및 기질적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반면, MMPI(일반적인 성격 특성 및 정신 병리적 상태를 평가하는 한국판 다면적 인성검사)에서 개인내적 동기 집단이 임상척도의 1(Hs), 2(D), 3(Hy), 7(Pt), 8(Sc), 0(Si) 척도가 65점 이상으로 상승하고, 1, 2번 척도 점수는 두 가지 동기를 모두 가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개인내적 동기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기능과 유의미한 정신병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바, 선제적이며 적극적, 지속적인 개입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traits of adolescent clinical group depending on functions of non-suicidal self-injury. A total of 37 teenager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and complete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and Full Psychological Evaluation Battery in a bid to collect research data.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y started self-injury at age 12.73 and the most common way of self-injury is cutting themselves with a knife, which is highly serious and requires continuous attention to whether they continue.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depending on functions of self-injury: groups with both two motivations or intrapersonal motivation or interpersonal motivation; and there’s no differenc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cognitive function and temperamental traits depending on functions. However, it turns out the group with personal motivation had over 65 points at clinical scales; 1, 2, 3, 7, 8, 0 in Korean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Especially, the points at the scale 1, 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 two motivations. Therefore, it’s required to intervene the group with personal motivation preemptively, continuously, actively as it indicates relatively low cognitive function and significant psychopathological state.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