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 불평등’ 중에서 주목해야 할 문제는 재난에 취약하다고 알려진 노인집단 내에서도 더 취약한 계층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노인의 가구형태가 코로나19로 인한 노인의 인지기능의 변화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가구형태에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및 8차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이중차이분석에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한 개인별고정효과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비독거노인보다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코로나19 로 특히 비경제활동 비독거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이 두드러지게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인지기능 저하에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 적절한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isaster inequality’ that can occur from COVID-19 is that there are more vulnerable groups within the older adults group. The influence of COVID-19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may be different by the household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differ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s. For this purpose, the 7th and 8th data of the panel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used, and the individual fixed effect in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decreased more than older adults non-living alon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y COVID-19.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the older adults non-living alone by age and gender. Thir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especially in the non-econom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OVID-19.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identified vulnerable groups in cognitive function in COVID-19 and suggested social welfare practice plans for appropriate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