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종수의 『여자초학』(1797)과 일본 교토대학 가와이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한글필사본『규중요람』은 종합 양반 여성 교훈서로서 조선후기 여성 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첫째, 본고는 가와이문고 소장본 『규중요람』의 원본을 김종수의『여자초학』으로 확인하고 책에서 찾은 실마리를 토대로 필사시기를 1843년, 필사자는 의성 김씨 가문 출신이 아닌 자라고 추정하였다. 둘째, 자료에 따르면 조선후기 양반 여성에게 필요한 사회적 교양은 조선 8도 지역에 대한 정보, 중앙 및 지방 관료제의 구조, 과거 시험 정보, 붕당정치의 전개 과정이었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당시 양반 사회에서는 실생활 교육의 경우 남녀 차이를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선후기 양반 여성 교육에서 보학 교육은 부계 질서 강화와 함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여성 교육은 일상에서 수행하여야 할 유교 젠더 규범, 사회적 교양으로서의 지식 습득, 며느리로서의 비중이 강화된 가운데 딸로서의 자아인식 확립을 위한 보학 교육으로 이루어졌다.


Kim Jong-su's Yeojachohak(1797) and the Korean manuscript Gyujungyoram, housed in the Kawai Collection of Kyoto University, Japan, is a comprehensive instruction book for aristocratic wome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men's edu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ource of the manuscript Yeojachohak and assumed that it was transcribed in 1843 by a person not from the Uiseong Kim family. Second, according to the manuscript, the social refinement required of aristocratic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formation about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the structure of central and regional bureaucracies, the Gwageo(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ction politics. Third, genealogy educ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paternal order were essential to yangban women's edu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women's edu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sisted of Confucian gender norms that women must perform in everyday life, knowledge acquisition as social refinement, and genealogy education for self-awareness as daugh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