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선거여론조사에서 조사방법의 차이가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그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본 논문은 2017년에서 2020년까지의 세 차례 선거에서 선거 3개월 전부터 선거 직전까지 이루어진 전국단위 여론조사에 관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경험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전화면접 대비 ARS 조사비율이 높을수록 여론조사에서 주요 정당 지지율을 과대 추정하고, 무당파 비율을 과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방법의 차이가 정당지지자와 무당파에 미치는 영향은 응답률이 낮은 설문조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방법에 따른 조사결과의 차이는 유권자 중 ARS 조사에 응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정치적 무관심층의 표집문제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표집의 차이와 조사방법의 차이가 실제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표집탈락률과 응답률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different polling methods affect the survey results on voters’ political attitudes and where differences in the survey findings originate if the polling methods matter. Using original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ion polls in Korea from 3 months before three elections between 2017 and 2020, we find that ARS-based election polls overestimate the major parties’ approval rates, underestimate the ratio of non-partisans, and drop overall response rates. However, the polling methods significantly affect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only if response rates are low. This study concludes that ARS-based election polls cause the undersampling of those who are politically indifferent.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survey methods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role of polling methods in the sampling of respon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