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을 비교·분석하여 내용 단락을 모두 갖춘 정본(正本) 텍스트를 선별하고, 그 중 가장 내용과 표현이 정합성을 갖춘 선본(善本) 텍스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들이 발굴되면서 어느 것이 선본인가에 대한 이견이 제시되었으나 발굴된 이본들을 모두 면밀하게 검토하여 선본 여부를 판별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이본을 모두 검토하여 교육제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성을 가진 선본 텍스트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은 ’망루각수기본‘, ’나손 김동욱본’, ‘고려대 도서관 소장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으로 모두 다섯 가지이다. 이 중 내용적 측면에서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나손 김동욱본을 제외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이 모두 선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본 텍스트 도출의 단계를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하여 서지학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원본에 가까운 텍스트로서 정본(定本) 텍스트들을 선별한 후, 이렇게 선별한 정본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다시 이본 비교를 실시하여 텍스트의 미묘한 표현적 차이를 밝혀내고, 내용과 표현의 정합성을 총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본 텍스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망루각수기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을 정본 텍스트로 선별하였으며, 그 중 갈등 형상화와 주제 구현을 위한 표현에 있어 가장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망로각수기본’이 선본 텍스트임을 밝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rsions of <GyujungchilUjangronji>, select the authentic texts with all the content paragraphs, and derive the most consistent texts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As two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were discovered, disagreements over the original manuscript were suggest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it was a manuscript by thoroughly examining all the excavated manuscrip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lect the original text with all content paragraphs by examining all five versions. There are five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Among them, with the exception of the Nason Kim Dong-wook, which shows a distinctly different aspect in terms of content, all other texts have been claimed to be original manuscripts. In this study, the stage of derivation of the original text is divided into two stages, and the original texts are selected as texts that contain all the content elements close to the original in the bibliographical aspect and the content aspect, and then the selected authentic texts are targeted. We tried to derive the original text with the most coherence between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by conducting a double comparison again and revealing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As a result, ‘MangroKaksugi script’, ‘Yonsei University Script’, and ‘Yeongnam Script’ were selected as authentic texts, and among them, ‘MangroKaksugi scrip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Gyujanggak, which has the most consistency in content and expression, was derived as the original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