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김수영의 시에서 적대감, 분노 등 부정적 감정을 현시(顯示)하는 재현 구도의 특징을 살펴 학습 독자의 윤리적 감수성을 활성화하는 조건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 텍스트에 제시된 가치 문제에 대해 학습 독자가 자기 나름의 명확한 기준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자기 구성적 인식에 도달한다는 전제는 논리적으론 부합하나 실제도 항상 그럴 것이라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습 독자가 모든 가치 문제에 대한 판단 기준을 지닌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에 감정적 반응이 나타난 이유를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판단 기준을 역으로 추론하여 기준을 갱신해가는 생성적 모델을 경유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 도덕철학 및 인지과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덕적 사유에 관한 직관과 추론의 관계를 탐구하여, 시 읽기에서 독자의 부정적 감정의 감지와 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판단 기준에 대한 메타적 조정이 연계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김수영 시에서 부정적 감정을 현시하는 언술 구조의 특징과 그 독해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는 현장성의 효과를 내는 발화 연출을 통해 감정이 드러남을 함께 체험하는 양상과 명명되지 않은 감정의 실체를 탐구하여 그 속성을 다양하게 상상하는 작용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정적 반응을 윤리적 질료로 삼아 민감하게 반응하는 태도로서 윤리적 감수성의 작용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conditions that activate the ethical sensibility of the student reader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 composition that reveals negative emotions such as hostility and anger in Kim Su-young’s poetry. The statement that the student reader arrives at self-constitutive awareness by judging through their own clear criteria for the value problem presented in the poem is close to a logical premise, but in reality, this is not the case. Sinc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a student reader to have a criterion for judging all value issues, the need to go through a generative model that updates reader’s own standards by inferring them backwards in justifying the reason for an emotional response is raise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uition and reasoning regarding moral thinking, which is being discussed in modern moral philosophy and cognitive science. Through this,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reader’s sensing negative emotions and meta-adjustment of judgment criteria are linked in poetry reading.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foundation, it examined in Kim Su-young's po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al structure that manifests negative emotions and their reading methods. This manifested itself as an aspect of experiencing the manifestation of emotions together through the direction of utterances that have the effect of simultaneity, and of exploring the reality of unnamed emotions and imagining their properties in a variety of ways. This is of utility for poetry education in that it embodies the workings of ethical sensitivity as an attitude that takes emotional responses as an ethical hylomorphism and reacts sensi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