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장활동에 참여했던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 형태와 특징을 현상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비공식 사회관계망 형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여성들은 친분 관계망을 통해 적극적인 ‘연대와 재결속’을 다지고 있다. 둘째, 경제수단 관계망을 통해 소매와 도매 장사를 위한 ‘목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 관계망을 통해 경제적 능력과 입지를 견고히 하기 위한 ‘이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시적 소비’를 통한 구별짓기가 확산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자원’을 확장하기 위한 줄다리기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을 통한 인간관계 상호작용의 형태와 특징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 여성들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은 변화되는 의식과 실천을 통해 가족 구조와 지역사회 전반에 소극적 저항을 기반하는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점차 사회변동의 주요한 자원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 정부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시장활동은 불가피하게 활성화될 수밖에 없다. 북한의 여성들은 자신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을 굳건히 다지면서 경제적 능력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타협’과 ‘협력’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경제적 능력을 갖춘 북한 여성들의 행위 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과대·과소 평가되는 것과 같은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되며, 북한 사회의 제한적 상황에서 이들의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plore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of North Korean women who participate in market activities. Findings reveal that the form of informal social network is as follows. First, it is strengthening an active “solidarity and a reunification” through a network of acquaintances. Second, it is forming the relationship of a “purpose” for retail and wholesale businesses through a network of economic means. Third, it is forming the relationship of interests to solidify economic ability and position through a network of local communitie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men's informal social network htat were identified are as follows. First, distinction through “conspicuous consumption” is spreading. Second, they are making every effort to expand the “social resour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s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 human relations through the informal social network of North Korean women. This network is creating rifts based on passive resistance in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overall community through changing consciousness and practice, and it is expected to gradually become a major resource for social change. Despite the control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omen's market activities are inevitably activated. North Korean women actively utilize “compromise” and “cooperation” to enhance their economic capabilities and quality of life while solidifying their informal social ne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viod making the mistake of overestimating or underestimating the subjectivity of North Korean women with economic ability.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not assume limitations in the possibilities in this context despite the restrictions of the North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