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청소년부모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로, 이들은 아동이 있는 가구이면서 아직 부모가 미성년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상이다. 이 연구는 삶에 필수적인 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주거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주거지원 전후로 인식하는 삶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민간단체에서 연계한 주거지원제도와 서비스를 경험한 청소년부모 10가구(부부 2가구, 미혼모 8가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따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3개의 영역, 11개의 범주, 그리고 4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거지원 이전에 주거환경, 경제적,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정서적 이유에서 불안정하게 정처 없이 떠도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검색이나 지인 활용, 행정기관 문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를 스스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주거지원을 받아 안전하고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주거지원 이후 정서적․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의 변화도 경험하며 장래를 계획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들의 도전과 시도를 가로막는 장애와 한계도 여전히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부모 또는 미혼모 복지시설의 부부 입소, 공공임대주택 보급 확대와 주거보증금 대출지원 기준 완화, 청소년부모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행정기관 담당자의 이해 역량 강화, 기타 양육 및 교육 지원 간의 서비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blind spot of residential welf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upport. Plus, it aims to explore what life change they perceive before and after housing support are.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couples and 8 unmarried mothers, who have used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alyzed data were classified into 3 domains, 11 categories, and 42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young parents had not stably settled down becau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social relations, and emotional reasons before the use of housing support service. Also, they looked for stable housing by themselves through mobile search use, acquaintances, and information gain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ese behaviors,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a private organization enabled them to live in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after the use of housing support, they had changes in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s, and also, a plan for the future.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till obstacles and limitations on their challenge and attemp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welfare facilities for a single parent or an unmarried mother would allow couples to use them,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ould be expanded, the criteria for loan support on housing deposit would be lowered, the capability that allows public official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dolescent parents would be strengthened,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ervice would be lin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