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pop의 글로벌 확산과 인기는 유튜브에 유통되는 K-pop 콘텐츠를 변형, 가공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K-pop을 소비하는 이용자들의 창의적 활동으로 인해 그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외 유튜브 이용자들이K-pop 콘텐츠 원본을 활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는 생산소비자로 역할한다는 것에 주목하고, K-pop 콘텐츠가 유튜브 플랫폼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변형되어 유통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볼터(Bolter)와 그루신(Grusin) 의 미디어 재목적화(repurposing) 개념을 차용하여 유튜브 내에서 재목적화(재사용, 재생산, 재창조)되는 K-pop 콘텐츠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방식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인터넷 문화기술지를사용하여, 분석적 코딩방법을 통해 재목적화된 K-pop 콘텐츠의 유형과 방식을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재목적화된 K-pop 콘텐츠는 7개(①음원⋅영상 재사용, ②음원 중심 재가공, ③음원 중심 재창조, ④영상 중심 재가공, ⑤영상 중심재창조, ⑥음원⋅영상 재창조, ⑦음원⋅영상 창조) 유형의 31개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글로벌 플랫폼 유튜브에서 관찰되는 K-pop 이용자의 창조적 콘텐츠 변형 행위에 대한 탐색적 이해를 도모하고, 참여 문화인으로서 K-pop을 소비하는 이용자의 역동성과 다양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pop contents on the YouTube platform, focusing on the rol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YouTube users as the prosumers of new contents created using original K-pop. By borrowing the concept of ‘media repurposing’ suggested by Bolter and Grus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K-pop contents that is repurposed(reused, reprocessed, and recreated) can be categorized in YouTube in terms of sound source and video. To this en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internet ethnography was used to categorize the types and methods of repurposed K-pop contents through an analytical coding. As a result, the repurposed K-pop contents was categorized of 31 methods within 7 categories(①Reus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②Reprocessing centered on sound sources, ③Recreating centered on sound sources, ④Reprocessing centered on the videos, ⑤Recreating centered on videos, ⑥Recreat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⑦ Creat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These seven typologies of contents repurposing are described as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user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ontent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an exploratory comprehension of K-pop consumers’ creative behaviors on content transformation as observed on YouTube and examines their dynamism and diversity as a part of participatory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