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현대 철학에서 데리다의 해체론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신학적 실재관을 분명하게 밝히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데리다의 해체론적 사고가 등장하는 배경으로서 포스트모던적인 사유의 기본적 목적이 무엇인가를 간략하게 진술하였다. 근대 이후로부터 현실을 인간중심적인 이성주의를 가지고 파악하려고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인간 존재와 이성적 사유의 허구성을 인지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근대적인 사유 방식 대신에 타자적 존재 이해와 비형이상학적인 사유 방식을 추구함으로써 현실을 파악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현실을 파악하는 가운데, 무엇보다도 인간의 문화적 행위를 가능하게 만드는 언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데리다가 시도한 해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신학적 차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의 사건을 통해서 드러난 새로운 실재를 밝히고자 하였다. 데리다의 해체론적 존재 이해의 가장 중요한 관점은 존재의 현전을 추구하는 거부하는 반형이상학적 입장에서 모든 것을 하나의 동일성으로 판단하거나 근거 짓는 통일성 대신에 개별적인 것만을 긍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존재의 차이가 반복되고 드러나는 해체의 과정으로서 존재자를 이해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개별성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개별적 존재자의 고유성이 그 자체로 철저하게 유의미하게 보존될 수 없고, 결국은 허무한 방식으로 또 다른 차이의 연속 안으로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그가 인간에 대한 윤리적 행위의 가능성을 논술할 때 개별적 인간이 지니는 윤리적 책무를 초월한 무조건적 환대를 요구할 때, 고난을 당하고 희생당한 개별적 존재를 포기하게 된다는 것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신학적 차원에서 드러난 예수 그리스도 안의 존재 이해는 부활의 몸의 이해를 중심으로 그 자체가 데리다가 요구하는 반형이상학적인 창조의 사건으로서 존재의 인격적인 의미가 확실해 진다는 것이 다. 즉, 모든 것이 동일성의 원리에 따라서 개별성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몸의 인격적 의미도 확실하게 그 존재의 주체적 고유성을 확립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운데 존재의 의미가 차이의 반복으로 해체되어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존재가 함께 서로 그리스도 안에서 공동의 존재를 이루는 사랑을 경험하여 가게 된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theological view of reality by critically analyzing Derrida’s deconstructive position in modern philosophy. First, as the background of Derrida’s de-constructive thinking, the basic purpose of postmodern thought was briefly stated. Since modern times, we have tried to grasp reality with human-centered rationalism, but as a result, we have come to recognize the falsity of human existence and rational thought. Thus, instead of the modern way of thinking, we come to grasp the reality by pursuing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existence and a non-metaphysical way of thinking. While grasping this reality, it is to know that, above all,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uman cultural actions possible. In this context,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deconstruction theory of Derrida and to reveal a new reality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events of the words of Jesus Christ. The most important view of Derrida’s de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being is to affirm the individuality rather than the unity that judges or bases everything for a single identity. However, on the one hand, it seems that individuality is revealed to be important by a process of deconstruction in which differences in existence are repeated and revealed, but on the other hand, in fact,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entities cannot be thoroughly and meaningfully preserved by itself. In the end, it disappears into another series of differences in a futile way. This position is evident in the fact that when he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thical behavior toward humans, and also he demands unconditional hospitality that transcends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humans, he gives up suffering and sacrifice of an individual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anding of existence in Jesus Christ revealed is the anti-metaphysical event of creation that Derrida demands, and the personal meaning of existence becomes certain. Not everything loses its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dentity. The meaning of each will also surely establish the subjective uniqueness of its existence. And it is not that the meaning of existence is being deconstructed through repetition of differences, but that all beings come together to experience the love that constitutes a common existence in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