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의 감사 화행에 대한 인식과 감사 전략 사용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상황별 감사 화행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상황별 감사 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가? 실험 참여자는 한국어 원어민 30명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이고 두 그룹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DCT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 두 집단의 감사 인사에 대한 부담감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2에서는 두 집단의 간접 전략 사용 여부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상황에서 사용된 감사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들은 친밀한 상대에게 감사 인사를 하는 것에는 부담감을 느끼지 않지만, 자신에게 이익을 준 상대방의 체면을 세우기 위해 관습적으로 직접 전략과 더불어 다양한 간접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중국인들은 거의 모든 감사 상황에 대해 부담스러워하고 있었지만, 친한 사이에 부담스럽게 이야기하면 관계가 어색해지는 문화적 관습에 따라 직접적인 전략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상대방이 자발적으로 나에게 큰 은혜를 베푼 상황을 부담스럽게 느끼고 있었지만, 선호하는 전략이 달랐다. 한국인들은 받은 것을 돌려주겠다는 보상 전략과 더불어 다양한 감사 전략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화가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너무 많은 말을 할 경우 상대와의 관계가 멀어질 것을 염려하여 직접적인 감사 인사만으로 대화를 끝내고 있었다. 이는 직접적인 감사 전략만을 사용했을 때 갑자기 대화가 끝나는 상황을 피하고자 부가적인 표현을 사용한 한국인들의 발화와 대비된다. 정리해 보면, 각 상황에서 사용한 전략은 차이가 나타나지만 두 집단 모두 각각의 문화적 규범에 따라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적절하게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상대와의 관계가 서먹해지는 상황을 피하고자 간접 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감사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유발된 이러한 차이는 화용적 실패와 더불어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실제 감사 화행에서 관습적으로 선호되고 사용되는 다양한 표현과 전략들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ast the realization and strategy patterns of thanking speech act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learners thanking speech acts based on the situ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use of thanking strategies by situation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DCT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two groups consisting of 30 native Korean speakers and 30 Chinese Korean learners. For research question 1, we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test and a paired sample-test on the burden of thanking among the two groups. For research question 2,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two groups used indirect strategies, and the thanking strategies used in each situation were analyzed. While Koreans do not feel pressured to thank their intimate counterparts, they were conventionally using various indirect and direct strategies to save face for the people who benefited them. The Chinese learners were burdened with almost all of the thanking situations, but preferred direct strategies according to cultural customs that made relationships awkward if they talked burdensomely with close friends. Furthermore, both groups felt burdened by situations in which the interlocutor voluntarily gave them grace, but their preferred strategies differed. Since Koreans used various thanking and compensation strategies to return what they received, their gratitude expressions tended to be longer. However, Chinese learners ended the conversation with only a direct thank-you because they feared that if they said too much to express their gratitud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would become distant. This contrasts with the utterance of Koreans who used additional expressions to avoid the sudden end of the conversation when only direct thanking strategi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ategies used in each situation differed, but both groups were appropriately using strategies to avoid damaging the interlocutor’s fac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ultural norms.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that while Koreans used various indirect strategies to avoid awkward relationships with their counterparts in certain situations, Chinese learners tended to prefer direct thank-you expressions in the same situations. These differences caused by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can make it difficult to maintain smooth human relationships along with pragmatic failures. Ther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various expressions and strategies that are customarily preferred and used in actual thanking speech 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