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를 ACAD(Activity-Centred Analysis and Design) 모델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와 교육과정 설계자가 각자의 상황에 맞게 수업을 재설계할 수 있도록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ACAD 모델은 지역적이고 복잡한 학습 상황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메타-이론적인 프레임 워크로 사회적 설계, 기술 및 공간 설계, 인식론적 설계의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설계 차원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에 따라 온라인 수업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기술 및 공간 설계 차원에서는 하이브리드 수업을 수행하는 데에 학습 공간의 조건과 참여자 수에 따라 양상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인식론적 설계 차원에서는 온·오프라인 수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황에서 지식의 구조화를 위하여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수업 사례를 통해 하이브리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교육 환경, 교수자와 학습자 측면에서 고려 사항을 실제적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앞으로 한국어교육에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운영하는 데에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교수자에게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hybrid learning Korean class by applying the ACAD model, to emphasize its meaning, and to suggest application points so that teachers and curriculum designers can redesign class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In this study, ‘hybrid class’ is defined 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a teacher operates classes simultaneously in an offline classroom, which is a physical space, and online, which is a virtual space’. As an example of a hybrid class, an intermediate level Korean class at a university in Hong Kong was analyzed through an Activity-Centered Analysis and Design (ACAD) model. ACAD is a meta-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local and complex learning situations, which consists of Social Design, Epistemic Design and Set Design.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the case of Social Design, interaction was achieved by appropriately utilizing online class tool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both on and offline. As for Set Design, it was confirmed the pattern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conducting hybrid classes. Lastly, in Epistemic Design, Flipped Learning and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were appli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s in situations where online and offline classe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he class targeted b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pace where a hybri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as prepared relatively early from the point of change to a hybrid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ctually proposed consideration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and learners for conducting a hybrid Korean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