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의 세계적 감염 확대의 장기화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영향은 모든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언어생활의 측면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경험해본 적이 없는 현상인 만큼 기존의 어휘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어서 신조어가 생산되거나 기성 어휘의 의미 혹은 이미지가 변용되거나 확장되는 현상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표현을 어떤 식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표현에 어떤 의미 혹은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는지, 그 한 단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중참여형 문예인 ‘샐러리맨 센류’ 중,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수집된 2020년 및 2021년의 총 200개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로서는 먼저 대상 작품을 분석하여 빈출 어휘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빈출어휘가 사용된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내용을 관찰하여 각 어휘가 어떠한 이미지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빈출 어휘라는 측면에서는 첫째, ‘아내’ ‘딸’ 등 가족에 관한 어휘나 ‘상사’ ‘회의’와 같은 직장과 관련된 어휘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어왔고 예전부터 ‘샐러리맨 센류’의 빈출 어휘로서 등장했던 표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밀(密)’, ‘코로나 팬데믹(コロナ禍)’ 등 코로나의 세계적 유행 속에서 나타난 신조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와 더불어 ‘마스크’ ‘텔레워크’ 등 기성 어휘이지만 코로나 상황에서 사용 빈도가 늘었거나 의미나 이미지가 확장 혹은 변용된 표현들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빈출어휘를 사용한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내’와 같이 이미지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어휘가 있는 한편으로 ‘마스크’와 같이 팬데믹 이후에 이미지가 확장된 어휘가 있는 등, 사전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다양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olonged global Covid-19 pandemic has significantly altered the daily live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is influence can be confirmed in all fields, and various linguistic aspects can be identified. As this is a never-before-experienced phenomenon, it cannot be expressed using only existing vocabulary; therefore, new words have been created, or the meaning or connotation of existing words have been altered or expanded.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what kind of expressions people use and how they use such expressions in such a situation and what meaning or image they attribute to the expressions.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200 works submitted in 2020 and 2021 to “Salaryman Senryu,” a literary arts contest with public participation,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For the research procedure, by analyzing the target works, the most frequent vocabularies were extracted Next, the image of each word was considered by observing the contents of the works, with a focus on the works in which frequent words are used. As a result, family-related words such as ‘wife’ and ‘daughter’ and workplace-related words such as ‘boss’ and ‘conference’ were routinely u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uch expressions frequently appeared in past ‘Salaryman Senryu’ submissions. Second, the presence of new words that emerged duri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such as ‘mitsu’ and ‘Covid-19 pandemic,’ was confirmed. Third, expressions such as 'mask' and ‘telework’ are well-established words, but their frequency of use has increased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r image of such words has been expanded or modified. Then, the contents of the works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use of the aforementioned frequently occurring word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image of such words as ‘wife’ was maintained as it has always been; however, regarding such words as ‘mask’ and ‘covid-19 pandemic’, various aspects that would be difficult to grasp with just dictionary definitions have additional or expanded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