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개발의 흐름을 개괄해 보고, 현 시점에서 한국어 교재의 전환기로서 대비하고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사라는 취지에서 어떻게 시대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교재사의 시대 구분에서 2000년 이후는 ‘발전기’로서 명명할 수 있는데, 이 발전기를 전후하여 한국어 교재는 기존의 민간 주도의 중소 규모 기관의 상향적 개발 방식에서 국가 주도 방식의 하향식 개발 방식으로 전환된다는 특징이 있다. 보급과 확산, 표준화와 체계화를 지향하며 20여 년을 지난 지금, 한국어의 수요는 전 세계에 걸쳐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한국어 학습자의 대상은 이제 단순한 금긋기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한국어 교재는 보호주의적 관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의미에서 다양성을 모색하고 반영해야 할 전환기적 시점에 이르렀음을 다섯 가지 동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개인의 언어 선택권(자기결정권)를 전제로 한국어의 교수-학습과 개인의 성장을 돕는 교재를 기획하여야 함을 전망적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the development of KFL/KSL teaching materials has changed since the 2000s. Subsequently, the new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KFL/KSL teaching materials were also examined. This paper firstly discusses the division of the era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FL/KSL teaching materials. After 2000, the quantity of KFL/ KSL teaching materials being produced increased consistently. Before 2000, KFL/KSL teaching materials were mostly produced by privat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ut after 2000 they were mostly produced by the government or in response to government direction. More than 20 years after this change,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exploded around the world, increasing the demand for the dissemination,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However,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no longer be distinguished by a simple categorization. A production of KFL/KSL teaching materials has reached the point that the development industry needs to give up its protectionist view, but to consider novel diversity, therefore, to respect people’s right of choosing languages they want to learn as a preference of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Lastly, this paper discusses how Korean textbooks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teaching, learning, and individu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