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음성언어와 마찬가지로 수어가 예술 창작에 활용될 때 독특한 언어적 특징들이 발견된다. 본고는 한국 수어노래에 발견된 예술적, 언어적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수어노래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각 형태마다 독립적인 언어적 특징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 개의 번역된 수어노래를 대조 분석하였다. 이 세 개의 수어노래는 번역자와 번역 동기에 의하여 두 종류로 분류된다. 첫 번째 종류는 청인과 농인으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하여 번역된 애국가이며 이 번역은 표준화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청인과 농인이 함께 부르는 목적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종류는 농인에 의하여 번역된 작품이며 예술적 활동이라는 것 이외에 어떠한 특수한 목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세 작품의 대조 분석을 위하여 엘란(ELAN 6.3버전)을 사용하여 전사하였다. [결과] 대조 분석 결과 두 종류의 수어노래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두 번째 수어노래에서 관찰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 음악에 의존하지 않고 수어 자체의 리듬감을 살려 표현하였다. 둘째, 한국수어에의 충실성을 높여 농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셋째, 수어공간 활용도가 높았고, 더 나아가, 상하 공간과 권력층/비-권력층의 대응 관계를 보여주는 공간의 은유적 기능을 보여주었다. 넷째, 유지, 단어 변형과 같은 수어의 형태적 특징이 두드러졌다. 다섯째, 은유와 환유와 같은 비유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시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담은 수어노래를 보여주었다. [결론] 이 결과는 수어노래의 음악적 본질을 함의한다. 수어노래는 청각 음악의 번역본 이상의 음악적 특성을 내재하며 나아가 음악은 본질적으로 청각적 경험을 뛰어넘는 것임을 지지한다. 그런 의미에서 농인들의 예술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수어노래는 수어문학의 다양한 작품과 더불어 수어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나아가 본고의 결과는 농 고유의 음악적 특성을 인정하고 발전시키는 농인 음악 커리큘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Sign languages, as is the case with spoken languages, make use of their special properties when they are used for the creative ar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rtistic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embedded in sign songs in Korean Sign Language. [Method] In order to verify that different types of sign songs exist and that they bear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we compared three translated sign songs that can be identified as belonging to one of two types, according to their authors and motivation. The first type includes a sign song translated by a committee of both hearing and Deaf people with the special purpose of standardizing the Korean National Anthem so that it can be sung together with hearing people. The other type includes two sign songs composed by Deaf authors, without any special intention other than their motivation to create art. The three songs were annotated according to ELAN (EUDICO Linguistic Annotator) for comprehensive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ign songs. First, the latter type was far less faithful to acoustic music than the first. Instead, it displayed higher dependency on its internal language rhythm. Second, the latter type displayed greater faithfulness to the use of sign language as a natural language for the sake of clear communication with the Deaf community. Third, the latter type used the sign space far more creatively, especially when marking contrasts metaphorically. Fourth, the creative use of sign language morphology and lexicon, such as spreading, was far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latter type. Lastly, metaphor, metonymy, and other poetic usages of the language were found in the latter type but not in the form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sign songs are not merely a translated version of acoustic music. Rather, sign songs demonstrate that music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acoustic realities. This means that, together with other creative art forms expressed through sign language, sign songs created by Deaf authors for the purposes of the creative ar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Deaf identity. Furthermor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Deaf schools with music curricula that recognize and promote a musical experience that is uniquely De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