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2016 2~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토의․토론 활동과 창의성 간의 종단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 2,359명의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4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토의․토론 활동과 창의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토의․토론 활동과 창의성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토의․토론 활동은 다음 시점의 창의성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전 시점의 창의성 역시 다음 시점의 토의․토론 활동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토의․토론 활동과 창의성의 종단적인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양방향의 정적 영향 관계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토의․토론 활동을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능력 계발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토의․토론 활동과 창의성 간의 지속적인 긍정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이들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 시켜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보급에 있어서도 이들의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고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iscussion/debate activities and creativity using data from the 2nd and 5th year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2016.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and autoregressive cross delay models were analyzed using longitudinal data for 4 years from 5th grade to 2nd grade of middle school of 2,359 students in Busan.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scussion/debate activities and creativity. Second, discussion/debate activities and creativity were stable over time. Third, the discussion/debate activity for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for the next time, an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for the previous time poin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iscussion/debate activity for the next time point. Thus, whe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iscussion/debate activity and creativity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esent various types of discussion/debate activities to stud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students' 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 by strengthening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based on the continuous positive influence between discussion/debate activities and creativity. In addition, i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t should be possible to continuously strengthen their virtuous cycle structure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