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산가족 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미수복지역 ‘월남자 가족’의 삶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이 가족이 남북 양쪽에서 경험한 해방과 전쟁 그리고 탈북 이후의 삶을 포괄적으로 조명하였다. 조 할머니 생애에 착종된 75여 년 분단의 상흔과 구조적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분단 가족’이 재생산되는 메커니즘, 즉 개인 삶과 가족관계에 작용하는 분단 권력의 은폐된 힘을 밝히는 데 주력했다. 조 할머니 가족은 6·25전쟁 당시 인민군/국군에 번갈아 부역한 아버지의 월남으로 북에서는 ‘월남자 가족’이라는 성분의 굴레를 쓰고 억압된 삶을 살아야 했다. 조 할머니는 셋째 딸의 탈북을 계기로 가까스로 남한에 정착하였고 55년 만에 아버지와 재회하여 장녀의 호적을 얻었다. 하지만 조 할머니에게 재산을 넘겨주지 않으려는 이복형제들의 방해로 인해서 아버지와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셋째 딸 부부는 중혼의 문제가 있으며 맏아들과 두 명의 딸은 여전히 북한에 남아있다. 이처럼 조 할머니와 그의 가족은 북에서는 ‘월남자 가족’, 남에서는 ‘탈북자’와 ‘인정받지 못한 가족’으로 즉 한반도에서 ‘이중의 경계인’ 삶을 살았다. 본 연구는 분단이 남북 간 정치적 문제만이 아니며 남북 양측에서 자행되는 배제와 폭력의 양상을 띠고 가장 원초적인 사회적 관계인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단 가족’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조 할머니 생애사 분석을 통해 논증하고자 하였다. ‘분단 가족’ 개념을 이론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life of grandma Cho’s family, who had lived in the “Unrecovered Area,” which was paid insufficient attention by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it comprehensively handles the family’s experience of national emancipation, the Korean war, and life after the settlement of South Korea. Around 75 years of national division are embedded in grandma Cho’s life. This research explores how ‘divided family’ is reproduced by focusing on the negative impact of national division, which even affects to individual’s life and family. The wound of national division deeply remained in grandma Cho’s life. Her father left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s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were labeled “Escaper’s Family.” Besides, her family received various political disadvantages due to their inferior political status. Grandma Cho managed to migrate to the South by following her third daughter, who had already settled in South Korea. After 55 years of separation, she could meet her father and enlist in the official family register. However, her step-brother and sister, who did not want to share the family asset with grandma Cho, interrupted. Thus, the relationship with her father was severed. In addition, her third daughter has a bigamy issue due to the resettlement, and her first son and two daughters still live in North Korea. In short, grandma Cho lived the life of a “dual marginal man” in two Koreas. She had a scarlet letter “Escaper’s family” in North. While settled in South Korea, she was called the humiliating name “North Korean defector” and “unwelcomed figure.” This paper asserts that national division is not simply a political issue between two Koreas. Instead, it harms the fundamental social organization “family.” In addition, this article covers the social exclusion and violence exerted by two Korea. This research attempts to elaborate on the term ‘Divided Family” and verify it through Grandma Cho’s life history. Follow-up research will develop ‘Divided Family’ more theore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