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is paper, we survey contrastive studies of the phenomena called directionality and/or subjectivity (subjective construal) in Japanese. The directionality of words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uch as “iku/kuru” (go/come), and giving and receiving “yaru/kureru” (give(speaker)/give(listener)) and “te itadaku” (have favor of being given) is also connected with honorifics, and has been pointed out by many researchers, under various labels such as subjectivity, subjective expression and subjective construal (understanding). Broadly speaking, the expression of subjectivity corresponds to Bühler's appealing (Apell) function, which is also related to the use of deictic language. Taking cues from the directionality and subjectivity of giving and receiving expressions and benefactives, we can grasp trends common to various phenomena mentioned above. Taking into account the dialect differences and the history of language, we confirm that these phenomena developed in the later historical stages of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second article (Part 2), we take into account various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Korean, and see if there is change in a certain direction (drift) in directionality and subjectivity. We als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apir-Whorf hypothesis, and extend our examination to economics within language and expand the field of economic linguistics.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의 방향성이나 주관적 표현으로 불리는 현상에 관하여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 다(行く)・오다(来る)’, ‘주다(やる: 내가 타인에게)・주다(くれる: 타인이 나에게)’ 그리고 ‘해 주시다’와 같은 수수(授受) 표현에서 청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의 방향성은 경어와 연결되어 주관적 표현(파악) 등 으로 다양하게 불린다고 많은 연구자가 설명하고 있다. 큰 틀에서 생각해보면 뷰러(Karl Bühler)의 주위환 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주관적 표현이고, 다이크틱(deictic)한 언어 사용과 연관된다. 수수 표현·베네팩티 브(Benefactive)의 방향성이나 주관성을 힌트 삼으면 다양한 현상에 공통적 경향을 찾을 수 있다. 방언 차이 와 언어사(言語史)를 고려해보면 일본어는 나중에 발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논문(part 2)에서는 영어·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를 고려하여 방향성이나 주관성에 대한 일정 방향으로의 변화(drift)가 있는 지를 살펴보겠다. 또 사피아 워프(Sapir–Whorf)의 가설 타당성을 검토하겠다. 언어 안 경제에 관해서도 시 야를 넓혀 경제언어학적 영역 확대를 도모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