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더믹 이후 부산의 다양한 관광지 이미지 요인들에 대해 외래 관광객들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그 차이를 국적 간 비교함으로써 관광지로서 부산에 대한 태도, 이해도 및 관광지 매력도를 확인하여 관광지로서 부산에 대한 다양한 국적의 관광객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8개국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적별 부산의 관광지 이미지 조사를 위한 기술통계분석 및 국가별 부산의 관광지 이미지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산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해 8개국 가운데 중국인, 러시아인, 홍콩인, 베트남인, 말레이시아인은 부산의 자연자원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국인과 대만인은 국제적 개방 측면을, 일본인은 관광인프라와 정보통신 인프라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산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국적 간(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대만, 홍콩, 베트남, 말레이시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 8개국 중 대부분 항목에 중국은 가장 높게, 일본은 가장 낮은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국적 간 부산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큰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국적별 외래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명확한 타겟 설정 및 전략 구축의 필요성과 각 국적별 관광객의 니즈와 행태 특성을 반영한 목표시장 별 차별화된 대응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 부산의 외래 관광시장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외래관광객 유치의 안정적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인바운드 관광시장 다변화 추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destination image factors of Busan among foreign nationalities. By exploring potential tourists’ attitudes, understanding, and perceived destination attractiveness of Busan,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of various nationalities view Busan as a tourist destin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of eight nationalities.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age of Busa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hinese, Russian, Hong Kong citizens, Vietnamese, and Malaysian regard the natural resources of Busa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constitutes image of Busan. Americans and Taiwanese perceive Busan to be a destination that is high in openness to international travel, and Japanese highly evaluate the tourism instrastruc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garding comparison analysis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ight nationalities in terms of the destination image of Busan. Specific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destination image of Busan as perceived by the eight nationalities significantly varied. For instance, Chinese rated most of the image items high while Japanese rated the majority of the image items to be low. Based on this finding,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distinct target market and strategy as well as a differentiated plan that reflects the needs and behaviors of tourists by each nationality. This research outlines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bound tourism market for Busan and suggests that market diversification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