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 소재 초등교사 3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 spss 25.0 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정서표현 양가성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효과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정적으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하위 요인 중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 양가성 하위 요인 중 관계관여적 양가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를 토대로 초등교사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관련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s It was analyzed in regression analys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fter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SPSS Process Macro No. 4 model.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o present basic data on programs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it,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