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stipulated in Article 406 of the Civil Act, and to suggest reasonable improvements. In other words,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is a system when the general property of the obligor, which is the common collateral for the receivables, is abnormally reduced due to the obligor's juristic act and the obligor's ability to repay becomes insufficient, it revokes the fraudulent act through the obligee's claim under the certain conditions, and restores deviant property to obligor's liability property. However, However, as it was pointed out that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in practice, it was used for research analysis by referring to the legislative cases of Germany, France, and Japan. On the other hand,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is derived from 'Actio' in Roman law, and the contents of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are only two Articles of 406 and 407 of the Korean Civil Act. Therefore, it is true that theories and precedents are confused in every case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In practice, obligees do not file a lawsuit with the court after providing objective evidence of fraudulent act to the counterparties who have transacted with the obligor, but first, file a lawsuit and then shift the burden of proof to the other party. Therefore, in the exercise of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the position of the beneficiary or acquirer who is the counterpart of the obligor is threatened considerably in various ways. And in the scope of all obligees that received the revocation effect of the fraudulent act, the person who acquired the claim after the fraudulent act, and the beneficiary, etc. It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whether or not to include in obligee differs depending on the theory. Therefore, as a result of minimizing the risk of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and analyzing many cases, interests, and problems that may occur between obligee and obligor, beneficiary and transferee, the Relative Invalid Theory, which is most suitable for our real lif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was derived as a valid theory.


본 연구는 민법 제40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채권자취소권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합리적인 개선방안 제시가 연구의 목적이다. 채권자취소권은 채권의 공동담보인 채무자의 일반적인재산이 채무자의 법률행위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감소하여 채무자의 변제능력이 부족하게 된 때에일정한 조건하에서 채권자의 청구를 통하여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일탈한 재산을 채무자의 책임재산으로 회복시키는 제도이지만 실무상 민법 제407조를 제대로 해석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선진국인 독일, 프랑스, 일본 입법례 등을 참고하여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한편 채권자취소권은 로마법의 소권에서 유래한 것으로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내용은 우리 민법 제406조와 제407조의 2개 조항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법령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매사에 학설과 판례가 혼란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무상으로 채권자들이 채무자와 거래한 상대방들에게 사해행위의 객관적인 증빙을 갖춘 후 법원에 소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소를 제기한 후 입증책임을 상대방에게떠넘기는 형태의 소송을 남발하고 있으므로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있어서 채무자의 상대편인 수익자나 전득자의 지위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당히 큰 위협을 받고 있다. 아울러 사해행위의 취소효력을 받게 된 모든 채권자의 범위에 있어서 사해행위 이후 채권을 취득한 자와 그리고 수익자 등이 민법 제407조 규정의 모든 채권자에 포함하는지 여부 등이 학설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채권자취소권이 가지고 있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고 채권자와 채무자, 수익자와 전득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사례와 이해관계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한 결과 시대적변화에 따른 우리 실생활에서도 가장 잘 어울리는 상대적 무효설이 타당한 이론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