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이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시행된 여성 문제음주자 대상 중재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여성 문제음주자 관련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시 필요한 핵심 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된 여성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를 검색하였고, 국내외에 발표된 모든 연구에 대해 통합 문헌 고찰을 수행했다. 연구대상 문헌의 선정기준은 여성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로 중재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문헌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이 여성 문제음주자가 아니거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연구는 제외하였다. 상기 기준을 통해 최종 선정된 12건의 문헌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핵심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음주의 심각도에 따라 중재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젊은 여성 문제음주자에게는 간단한 중재도 효과가 있었다. 반면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를 받는 대상자에게는 심층적이고 반복적인 중재가 효과가 있었다. 문제인식 단계를 위해 직접적인 음주폐해를 언급했다. 중재의 효과를 위해선 중재 제공자가 수행한 중재의 전문가여야 한다. 여성 문제음주자의 중재에는 자기강화훈련인 포함되어야 한다. 결론: 여성 문제음주의 극복을 위해서는 문제음주 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기인식 과정을 통해 올바른 자아성찰과정이 필요했다.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중심주의는 여성 문제음주자에게 음주문제를 해결하는데 방해 요인이었으며, 자기강화 훈련이 문제음주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vention studie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conducted in Korea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key factors necessary for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related to female problem drinkers in Korea in the future. Methods: In this study, intervention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conducted in Korea were searched, and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on all studi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he literature for the study were the literature suggesting the intervention method in detail as an intervention study targeting female problem drinkers. Studies that did not target female problem drinkers or Koreans were excluded. Key factors were extracted by reviewing and analyzing 12 studie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above criteria.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perio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roblem drinking. A simple intervention was also effective for young female problem drinkers. On the other hand, in-depth and repeated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subjects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receiving hospitalization or outpatient treatment. For the stage of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on negative consequences of problem drinking must provide. The intervention provider must be an expert in the interventions they have performed for them to b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should include self-reinforcement. Conclusion: To overcome problem drinking for women, a correct self-reflection process was needed through self-recognition process,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 of the gender role of problem drinking women. The traditional family-centralism in Korea was a hindrance to problem-drinking women in solving their drinking problems, and self-reinforcement training helped them to solve the problem drinking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