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대표성 있는 자료원을 활용하여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COVID-19에 대한 불안과 관련성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COVID-19에 대한 불안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Lalonde's 건강결정요인 모형을 토대로 생물학적 요인, 보건의료조직요인, 환경요인, 생활습관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또한, 복합표본 설계 효과를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하에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COVID-19 증상발현 시 자택휴식 가능 여부, 흡연 여부, 고위험 음주 여부, 성별, 연령, 결혼상태, 소득수준, 미충족의료 여부가 COVID-19에 대한 불안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건강행동과 COVID-19에 대한 불안은 관련이 있으나, 사회경제학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경우 COVID-19에 더욱 취약하며, 이에 대한 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취약계층의 기본적인 욕구충족 및 생계유지 및 가계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 등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Objectiv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in the COVID-19 pandemic by using nationwide representative data. Methods: Human biology, Healthcare Organization, Environment, Lifestyle factor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Lalonde Health Field Model. Descriptive analys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provide this association considering complex sample design effects. Results: Rest during the onset of COVID-19 symptoms, smoking status, heavy drinking status, sex,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oderate or higher physical activity, unmet healthcare need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Conclusions: Health related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In addition, people with socioeconomic vulnerabilities were even more vulnerable due to side effects of the COVID-19, resulting in more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olitical support such as social protection programs to protect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public, that can guarantee household income to satisfy basic needs and maintain livelihood of those under the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