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895년~1910년 국내에서 발행된 교과서 18종에 등장하는 외국 지명의 유형과 지명 표기 사례를 분석하여, 당대 세계 지역에 대한 인식, 지명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의 이동, 지명 간 경합 양상을 확인하였 다. 개화기 교과서에서 외국 지명 표기는 크게 중국식 한자 음역과 일본식 한자 음역 지명 간의 경합, 원 지역의 지 명 발음과 유사한 한글 표기로의 전환이 확인된다. 그 밖에 정확한 표기를 위해 한자 의역+음역, 의역+한글의 복 합어, 기존 한글에는 없는 합용병서 등의 다양한 지명 표기 사례도 나타났다. 개화기 세계지리와 세계사 교과서의 외국 지명들은 자료마다 표기 방식이 완전히 상이하거나, 한 자료 안에서도 같은 지명에 여러 가지의 지명 표기가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에 당대의 상황에 대한 완전한 파악은 쉽지 않지만, 본 연구의 자료와 분석의 결과들이 관련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ypes and notations of foreign geographical names in 18 types of world geography textbooks of modern times. It aims to examine various topics as cognition of the world, movement of knowledge, and toponymic conte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895 to 1910. There were toponymic contestations of transliteratio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pronunciation, and transitions from Chinese transliteration to Korean translation similar to original pronunciation. Meanwhile, a variety of notations of foreign geographical names coexisted such as Chinese transliteration, Korean translation, their combinations, and a whole new Korean notation in world geography and world history textbooks.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fully used in future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