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에밀 아자르의 『솔로몬 왕의 고뇌』는 ‘나’와 마드무아젤 코라, 솔로몬 씨가 만들어내는 욕망과 로망의 삼각관계로 구축된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내’가 욕망의 대상을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드무아젤 코라는 진짜 욕망이 아니라 매개된 모방 욕망의 대상이며, 그녀에 대한 ‘나’의 욕망은 퇴행의 위험성 등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내’가 로망을 실현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가족 로망의 주인공인 솔로몬 씨가 아버지의 이상향에 부합하지 못하고 결락하는 이미지로 재현되는 까닭에서다. ‘내’가 솔로몬 씨에게 품은 양가적인 감정 및 억압적인 시선으로 인해 이 작품 속의 가족 로망은 하나의 풍자극으로 퇴색해 버린다. 그럼에도 ‘나’는 제3의 인물을 창조하여 가족 로망의 환상을 유지하고, 그 인물에게 ‘나’의 나르시시즘을 보호하는 임무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이 작품 속 인물관계는 실질적으로 네 사람 사이에 가해지는 억압의 구도로 확장되며, 결과적으로 ‘나’와 제3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방어의 구조로 축약된다.


L’angoisse du roi Salomon est un roman construit autour d’un triangle familial composé de “je”, Mlle Cora et M. Salomon. Il est impossible pour le “je” de désigner l’objet de son désir dans cette histoire. Mlle Cora incarne la médiatrice d’un désir mimétique et de celui d’un “je” refoulé par peur de régression. Le “je” rencontre des difficultés pour réaliser le roman familial. En effet, le “je” renvoie à M. Salomon, protagoniste auto-déclaré de ce roman familial et ne parvenant pas à répondre aux idéaux du père. En raison des sentiments ambivalents que le “je” a envers M. Salomon, le roman familial se transforme en une satire. Seule l’autodéfense contre le refoulement extérieure est possible. Néanmoins, le “je” crée une troisième personne afin d’entretenir le fantasme du roman familial et confie à cette personne la tâche de protéger son narcissisme. Ce faisant, la relation entre les personnages de cette œuvre se referme petit à petit autour d’un groupe composé de quatre personnes, pour finir sur un clivage entre le “je” et la troisième person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