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쓰기교육 현장에서 쓰기 피드백의 실천이 분석적 쓰기평가 범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주목하여, 교수자가 제공하는 평가범주별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수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내용, 조직, 표현 피드백을 독립 변인으로, 학습자의 피드백 수용과 피드백 유용성 인식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 학습자들은 쓰기 피드백 수용도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표현 피드백을 인지적·행동적으로 가장 잘 수용했고, 내용 및 조직 피드백은 인지적 수용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행동적 수용은 더욱 낮았다. 둘째, 전체 학습자들은 내용 및 표현에 비해 조직 피드백이 가장 유용했다고 답하였다. 셋째, 상하위 집단은 쓰기 피드백 수용도에 있어 전반적인 수준 차이를 보였으며, 상위 집단은 형식 및 어법과 조직 피드백을, 하위 집단은 단어 선택과 내용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잘 수용했다. 넷째, 상하위 집단은 조직 피드백을 가장 유용하고 표현 피드백이 가장 덜 유용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상위 집단이 내용보다 표현 피드백을 유용하다고 대답한 반면, 하위 집단은 내용 피드백이 더 유용하다고 대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평가범주에 따른 학습자의 피드백 수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the analytical writing feedback provided by the instructo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feedback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tudents' feedback acceptance and feedback usefulness perception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cceptance of writing feedback was generally high among all students. Expression feedback was most cognitively and behaviorally accepted, and content and organization feedback had relatively low cognitive acceptance and lower behavioral acceptance. Second, all students answered that organizational feedback was the most useful compared to content and expression feedback. Third, the upper and lower groups showed a difference in level of feedback acceptance. Fourth, the upper and lower groups responded that organization feedback was most useful and expression feedback was least useful.